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9,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전문임기제 가급 임용 △지식재산전략기획단장 송경희 ▽국장급 전보 △
과학
기술정책국장 권석민 ▽국장급 승진 △
과학
기술일자리혁신관 임요업 △우정사업본부 예금사업단장 ▽국장급 임용 비상안전기획관 황의식 ...
[과기원은 지금] KAIST·현대차, 고속 자율주행 연구 파트너십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관련된 전문 지식·경험 등을 공유하고 홍보에 협조하는 내용이 담겼다. ■ 김동혁 울산
과학
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특정 단백질이 DNA에 결합하는 위치를 확인하는 '염색질 면역 침전'의 데이터 분석 처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생물정보학 ... ...
[
과학
게시판] UST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이해와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사업단 연구 내용, 향후 공동연구 방향, 의
과학
자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했으며 한국-스웨덴 교류 협력 과제 구성을 논의했다 ... ...
양자컴 걸림돌 '큐비트 오류율' 낮췄다..."획기적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낮은 양자 프로세서에서 3.028%의 오류율이 발생한 데 비해 낮은 오류율이다. 이승우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연산에 사용하는 큐비트를 늘리면서 오류율을 줄이는 것은 양자컴퓨터 실현 조건 중 하나"라며 “이번 연구는 큐비트의 숫자를 늘리고도 오류율을 줄일 ... ...
[오늘
과학
] 유도분만으로 태어난 아이들 학업 성취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시험 성적과 분만 방식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스칸디나비아 산부인
과학
회보’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네덜란드는 12세에 초등학교 과정을 마치는데 이 시기 학업 성취도 평가를 실시한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와 분만 방식 데이터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유도 분만 후 ... ...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12년 뒤 실증로 건설...상용발전소는 2050년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등을 최소 2030년까지 연구한다. 축적한 연구결과는 미래 실증로 설계와 개발에 쓰인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제18차 국가핵융합위원회를 개최하고 핵융합 실현을 위한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개념’을 발표했다. 여기엔 2050년대 핵융합 실현을 위한 장기 일정 목표가 담겼다. 실증로 관련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빠르게 잘 자라는 나무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줄기나 가지와 같은 바이오매스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완화하 ... 마련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국림산림
과학
원 임목자원연구과 최현모 연구사 국림산림
과학
원 임목자원연구과 안찬훈 ... ...
뇌종양 연구 선구자 최승홍 서울대 교수 '한림원 생리의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활용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유 원장은 “최 교수는 차세대 의사
과학
자”라며 “뇌종양 등 난치성 암의 진단 및 치료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영상기법 연구를 진행하는 점과 10년 이상 새로운 나노입자 활용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고 밝혔다. ... ...
전기 전도성·강성·가벼움·유연성 모두 갖춘 '슈퍼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연구팀이 여기에 더해 전기 전도성까지 갖는 아라미드 섬유를 개발했다. 김대윤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강성과 유연성은 물론 전기 전도성도 우수한 아라미드 섬유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아라미드 섬유를 ‘탄소나노튜브’와 ... ...
빅뱅 직후 형성된 거대은하 6개 발견..."기존 이론 뒤집는 우주파괴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공동 저자인 에리카 넬슨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 천체물리학과 교수는 "많은
과학
자들은 138억년 전 빅뱅 이후 수십억년이 지나야 거대 은하가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믿었으나 초기 우주는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흥미로웠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이 ... ...
이전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