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목표를 점검해보니 모두 완수했다. 그동안 출원한 특허가 42건, 국내외 저널이나 학회에
발표
한 논문은 300건에 이를 정도다.기업과 활발히 협력해 기술을 상용화하는데도 성공했다. 2003년 반도체 최종 외관 검사기를 개발해 국내 기업이 상용화할 수 있게 기술이전을 했고 2004년에는 세계적인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진학, 조직학에 흥미를 가지고 항문상피(肛門上皮)를 연구하여 1912년에 최초의 논문으로
발표
했다파장이 1~10cm인 극초단파 진동수는 3~30kHz이다직진성이 뛰어나고 전파 도중에 공간에서 별로 감쇄하지 않는다셀렌의 광전효과를 활용한 광전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기관 표면에 셀렌을 증착하고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걸고 선의의 경쟁을 펼치는 공간”이라며 “지큐호에서 내린 뒤 가장 먼저 논문을
발표
하기 위해 쉬는 시간에도 연구결과를 정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큐호에는 장 교수 외에 일본, 미국, 유럽연합의 과학자가 각각 5명씩 승선했다.장 교수는 드릴이 구멍을 뚫을 때 지각에 어떤 변화가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아쿠아리움연구소 케니스 스미스 박사팀이 남극 웨델해 빙산 2개를 추적한 결과를
발표
했다. 연구 결과 놀랍게도 바다를 표류하는 빙산 주변에는 다양한 해양생물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빙산이 재앙의 그림자가 아니라 생명의 안식처란 말인가. 또 지구온난화의 결과로 증가한 빙산은 오히려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고른다. 이 바이러스가 ‘올해의 백신’용 표적이 된다.WHO가 매년 새로운 백신 유형을
발표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맞는 독감예방백신 수명이 1년이기 때문이다. 작년 백신은 올해 효과가 없다는 뜻이다. 독감 백신은 세포를 공격하는 특정 바이러스 유형에만 특별히 대응하는 항체 1종류만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올리는 방식(SOI)으로 600MHz CPU를 설계·개발한 내용의 논문을 1200명의 전문가 앞에서
발표
했던 것. 이 논문은 ISSCC 우수논문으로 선정돼 미국전자전기학회(IEEE)에서 발행하는 ‘저널 오브 솔리드스테이트 서키츠’(JSSC) 특별판에 실렸다. 미래 혁명의 중심 CPU그는 초등학교 3학년 때 월간지 ... ...
가장 오래된 고릴라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1000만~1100만년 전에 살았던 고릴라의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8월 23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이 고릴라에게 ‘코로라피테쿠스 아비시니쿠스’라는 이름을 붙였다.최근 과학자들이 현존하는 영장류의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고릴라가 침팬지나 ... ...
온실가스 늘리는 지렁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큐틴이 적게 함유돼 있다는 사실을 8월 22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화학회’에서
발표
했다. 필리 교수팀은 지렁이가 없는 숲과 지렁이가 많이 사는 숲의 토양을 6개월간 비교·관찰했다. 그 결과 지렁이가 많이 사는 토양은 큐틴 함유량이 적었고, 대신 리그닌이라는 물질이 많았다. 리그닌은 ... ...
금연해도 손상된 유전자 회복 안 돼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흡연자만큼 높다는 연구 결과를 온라인 생명과학저널 ‘BMC 게노믹스’ 8월 29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담배를 피우지 않은 4명과 30년 이상 하루 한갑씩 꾸준히 담배를 피운 8명, 그리고 금연한지 1~32년이 지난 12명의 유전자를 각각 조사했다. 그 결과 담배를 끊은 사람이라도 폐와 기관지의 세포 ... ...
헤딩슛, 뇌손상 걱정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헤딩을 많이 해도 뇌는 손상을 입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영국스포츠의학’지 9월호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축구선수 10명에게 코너킥 상황에서 헤딩슛을 10번, 또 다른 10명에게는 20번 하게 한 뒤 이들의 뇌척수액을 채취해 헤딩을 한번도 안한 선수들의 뇌척수액과 비교했다.뇌가 충격을 받아 ... ...
이전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