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7,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능성적 알고보니 유전자가 결정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요인보다 유전적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고 결론지은 것이다. 특히 생물학과
화학
, 물리학 등 과학 점수의 차이는 미디어나 예술, 음악과 같은 인문학 점수 차이에 비해 유전적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의 경우 점수 차이의 58%가 유전적 차이 때문에 생겼지만 인문학은 42%에 ... ...
금으로 해리포터의 '투명망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센서나 투명망토 등의 핵심소재로 응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화학
회(ACS)가 발간하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구랍 23일자에 실렸다 ... ...
'천의 얼굴'을 가진 식물, 대마초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THC의 뇌 속
화학
작용을 막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THC는 CB1이라는 수용체에 붙어 생
화학
작용을 일으키는데, 프레그네놀론 역시 CB1 수용체에 경쟁적으로 달라붙어 THC의 효과를 낮춘다. 피아자 교수는 “프레그네놀론이 물에 잘 녹지 않고 복용이 힘든 만큼 대마초 중독을 막기 위한 치료제로 ... ...
[이공계 홀대하는 한국]“벤츠 타고온 의사동창… 이공계는 지하철…”
동아일보
l
2014.01.08
전문대학원 학원에 다니느라 학교를 안 나오는 상태였다”고 말했다. 최중길 연세대
화학
과 교수는 “의전원 등의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인력과 학생 수급 체계가 무너졌다. 과거에 비해 정부 지원 예산이 늘었는데도 이공계 인력의 대우는 좋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 ... ...
과학자에게 약속한 상금조차 아까운 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연구자의 사기를 꺾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1회 젊은과학자상 수상자인 KAIST 이상엽 생명
화학
공학과 특훈교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대통령이 직접 상을 준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림대 이기홍 사회학과 교수는 “예산 사정을 고려해 상금을 줄이고 규모를 ... ...
줄기세포 키우는 나노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다른 평평한 곳에서 키우며
화학
물질 처리에만 초점을 맞춰왔다. 결국 알맞은
화학
물질 처리를 해주더라도 성장환경의 차이 때문에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만들기가 쉽지 않았다. 연구팀이 만든 ‘생체모방형 나노지지체’는 뼈와 피부, 신경 줄기세포가 성장하는 환경을 모사한 틀로, 뼈 ... ...
도넛이 스스로 만들어진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000002mm인 초소형 도넛이 스스로 만들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항공대 김기문
화학
과 교수가 이끄는 IBS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은 첨가제나 틀을 이용하지 않고도 속이 빈 마이크로 도넛이 자발적으로 만들어지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케미스트리’ 온라인판 6일자에 발표했다. 이번 ... ...
빗물로 인한 하천 오염방지가 지난해 최고의 건설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하는 기술이다. ‘비점오염’은 자동차에서 나온 기름방울이나 포장 도로의
화학
물질처럼 불특정한 장소에서 예기치 못하게 발생하는 오염을 말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장치의 특징은 여과장치 내 다공성 고분자 충전재가 별도의 동력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100㎛(마이크로미터·1㎛=100만 ... ...
“올해 출연硏 화두도 창조경제가 1순위”
동아사이언스
l
2014.01.01
추진하는 ‘1실 1기업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150개 기업을 동시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
화학
연구원은 ‘정체성 확립’을 올해의 목표로 내걸었다. 그러나 이 역시 민간기업이나 대학에서 할 수 없는, 출연연만의 고유의 연구과제에 집중하고, 이를 통해 경제발전에도 한층 더 이바지 하겠다는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
과학동아
l
2013.12.30
표면의 두꺼운 얼음층을 뚫고 나오기 때문이다. 얼음층이 깨지면서 산소를 비롯한
화학
물질이 바다로 유입돼 초기 지구에서 생명체가 탄생할 때와 유사한 조건이 만들어질 수 있다. 또 바다로 들어가는 통로를 만들어준다. 로스 박사는 “유로파가 목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만 발생한 점을 보아 ... ...
이전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