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러플린 총장, KAIST 사립화 촉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교수들은 “등록금을 대폭 올리면 우수한 학생들이 오겠냐”며 “미국의 방식을 그대로
한국
에 적용하면 경쟁력을 잃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논란이 커지자조청원 과기부 과학기술기반국장은“러플린 총장이 제시한 KAIST 재정자립도 제고방안이다소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며“충분한 ... ...
'사이언스' 선정 2004년 10大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판단한 결과 서서 걸어 다닌 어른 여자로 결론을 지었다.3위 _ 황우석 배아줄기세포 배양
한국
의 황우석 교수팀은 올 2월 복제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얻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이 연구는 당뇨병, 파킨슨병 등 난치병을 치료하는 데 새로운 돌파구를 열었다는 의미에서 전 세계의 주목을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임명하는 것도 국제적으로 중요한 프로젝트다.
한국
에서는 어떤 것들이 준비되고 있나
한국
에서는 앞서 언급한 행사 외에도 국립서울과학관에서 아인슈타인을 주제로 한 대규모 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어려운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제별로 체험 위주 행사로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수많은 별, 가스와 먼지가 어우러진 은하가 어쩌다 모이를 쪼아 먹는 닭의 모습이 됐을까.
한국
에서 닭은 시조의 탄생을 상징한다. 신라의 신화에 따르면 박혁거세 왕의 아내인 알영부인과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의 탄생이 모두 닭과 관련된다.먼저 알영부인의 이야기다. 알영이라는 이름의 ... ...
과학책에 인생을 걸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때 국내 책은 ‘사람과 컴퓨터’가 유일했어요. 지금도 그 내용을 넘어선 책이 아직
한국
에는 나오지 않았다고 자부합니다.”이 소장은 과학기술 대중화를 위해 1992년 7월 ‘정보기술’이라는 잡지를 창간했다. 외국 교포들로부터도 칭찬을 받는 등 잡지의 내용은 뛰어났지만 영업이 쉽지 않았다.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NASA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부분 은하의 중앙에는 우리 해보다 질량이 1백만 배~10억 배 더 큰 블랙홀들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블랙홀의 크기가 우리 태양계만한 것들입니다. 신기한 것은 은하가 크면 클수록 중심의 블랙홀도 더 크다는 사실입니다. 우리은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은하여서 그런지 중 ... ...
국내 연구진, '투명 태양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쓸 수 있는 투명 태양전지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
과학기술연구원(KIST) 촉진수송분리막연구단 강용수 박사팀은 에너지 전환효율이 매우 우수하고 투명한 고체형 유기 태양전지 제조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월 16일 발표했다.이번에 개발된 태양전지는 빛에너지를 받으면 전자가 방출되는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마지막으로 “고마워, 아인슈타인”이라고 외칠 순간이다. 날마다 쓰는 전기 때문이다.
한국
에서 쓰이는 전기의 약 40%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온다. 원자력발전은 아인슈타인이 만든 공식 바로 ‘E=mc²’을 이용한 것이다.E=${mc}^{2}$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이 공식에 따르면 핵분열을 해서 물질이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해볼만한 분야이다. M이론이라는 미답지에 대한민국의 국기를 꽂기 위해 지금도 많은
한국
의 끈이론 학자들이 연구를 하고 있다. 원정대에 동참할 젊고 도전정신이 있는 동지들을 우리는 원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상대성이론 탄생 100주년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2. ... ...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박사학위를 그냥 버려 둘 수만은 없었던 것이죠. 그래서 낮에는 군 생활을, 밤에는
한국
과학기술원의 연구원으로 하루 서너 시간만 자면서 연구를 계속 했어요.그런 생활은 1년 6개월 동안 계속 되었고, 그 기간 동안에 박테리아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게 되었지요. 결국 현재의 이상엽 박사를 ... ...
이전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