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름다운 나비표본 만들기과학동아 l1996년 09호
- 곤충핀을 나비의 가슴 정중앙에 꽂아 전시판에 고정한다. 그리고 앞날개를 펴서 고정한 다음 앞날개 후연 3분의 2지점에 뒷날개 전연이 겹치도록 고정하면 된다. 특히 전시할 때는 곤충바늘로 조심스럽게 더듬이를 펴고, 배를 솜이나 삼각지를 이용해 받쳐 놓아야 한다. 전시가 끝나면 각각의 나비에 ... ...
- 96일본 청소년과학제전과학동아 l1996년 09호
- 학생들 모두가 열심이었다. 누구나 직접 해보는 것이 이 코너의 매력이자 탐구목표였다.다음 ‘생활과학 코너’ 에 들어서자 비누방울, 플라스틱, 바나나, 풍선 등을 이용해 여러가지 재미있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 특히 비누방울 실험실을 운영하고 있는 사토씨의 이야기는 가히 감동적이다. ... ...
- 2. 물고기와 속도과학동아 l1996년 09호
- 고무찰흙으로 만들었다. 이때 측면두께값은 참치 0.25, 복어 0.3, 뱀장어 0.1로 했다.그런 다음 흐르는 물에 3가지 측면형의 물고기 모형을 놓고 물이 흘러오는 방향에서 스포이드로 푸른색 잉크를 떨어뜨렸다. 유속은 수도꼭지로 조절했다. 그러나 생각했던 것보다 유속 조절이 어려웠고 잉크의 흐름이 ... ...
- 교육용 공개 프로그램 세계수준 아직 낮아과학동아 l1996년 09호
- 거칠지만 단어의 뜻을 전달하는 데는 부족함이 없다. 초록색 단추를 누르면 다음 단어로 넘어가며, 빨간색 화살표를 누르면 이전 단어로 간다. 또 왼쪽에 있는 찾기(Search) 단추를 누르면 단어 목록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고를 수도 있다.사지선다형 문제를 선택하면 화면이 나타난다. 위에는 그림 ... ...
- 3. 맛 좋고 키 큰 콩나물 기르려면과학동아 l1996년 08호
- 먼저 토론한 다음 맛있고 키가 큰 콩나물을 기르기 위한 조건이 무엇과 관계되는지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했다.(가설1) 빛이 차단된 곳에서 맛있어 보이는 노란 콩나물이 잘 자란다.(가설2) 물을 자주 공급해줘야 통통하게 자란다.(가설3) 온도가 상온일 때 성장 속도가 빠르다.(가설4) 물을 자주 ... ...
- 핵겨울설 한계 뛰어넘은 새 멸종설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충돌로 공룡이 멸종했을 것이라는 점에서 다른 바는 없다.만약 핵겨울설이 사실이라면 다음과 같은 공룡 멸종 시나리오를 꾸며볼 수 있다. 운석이 충돌하면 국부적으로 엄청난 열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급증해 짧은 기간 동안 온실효과가 발생한다. 또 운석 충돌로 생긴 ... ...
- 2. 최적의 온도와 pH는 얼마일까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실수도 많았다. 처음 pH7의 실험군에 효소를 넣지 않아서 실험을 다시 시작했는데, 다음엔 pH7의 완충용액을 pH6으로 착각하는 실수를 범했다. 이로부터 우리들은 실험을 통해서 하나의 자료를 얻기까지 얼마나 큰 신중함이 요구되는지를 알게됐다.지도교사 의견이 실험의 목적은 효소가 온도와 pH의 ... ...
- 3. 쌍방향 인터넷 광고 "원하는 사람만 보세요"과학동아 l1996년 08호
-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는 광고라는 또다른 영역이 자리 잡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상행위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미디어의 광고 효과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중매체는 이윤추구와 공공성이라는 두 측면이 맞물리며 ... ...
- 마라톤과학동아 l1996년 08호
- 글리코겐 저장량과 반비례하는 글리코겐 합성효소(glycogen synthase)의 활성이 높아진다.다음 후반 3일 동안은 탄수화물이 주가 되는 식사를 하고, 그 결과 제 7일째인 시합 날에는 간과 근육 내에 저장된 글리코겐 양이 평소의 두배(약 2백밀리몰/근육1kg)에 달해진다.그러나 이 방법은 선수들의 시합중 ...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6년 08호
- 달리 진화해 온 것인가, 아니면 새가 공룡의 조상인가 하는 점은 더 많은 화석이 연구된 다음에야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수수께끼④현대과학으로 공룡 되살릴 수 있을까 - 호박속의 공룡, DNA 복원 마이클 크리튼이 쓴 소설 '쥐라기 공원'에서 유전학자들은 멸종된 공룡을 되살리는데 성공했다. 호박 ... ...
이전6666676686696706716726736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