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스페셜
"
둘
"(으)로 총 669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4종의 16S 리보솜RNA 염기서열을 다른 박테리아나 동식물의 해당 서열과 비교한 결과
둘
어디에도 속하지 않을 만큼 뚜렷한 차이를 보였던 것이다. 당시 지식으로는 당연히 다른 박테리아 무리에 함께 묶여야 했다. 이에 깜짝 놀란 우즈 교수는 메탄생성 박테리아에 대한 연구논문을 뒤지기 시작했고,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내렸기 때문이다. ●각종 대사 질환에 관여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는 요즘 매주
둘
중 하나 꼴로 장내미생물 관련 논문이 실리고 있는데 연구 스펙트럼이 상당히 넓다. 질병에 관련된 것만 몇 개 소개해보면 새끼일 때 항생제를 투여하면 장내미생물상(gut microbiota)이 바뀌고 비만에도 영향을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968년에는 홍콩독감 대유행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도 해독해
둘
사이에 돌연변이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1990년대 들어 마침내 피어스 교수팀은 독감 바이러스의 게놈에서 범용독감백신의 표적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냈다. 바로 M2라는 이온통로단백질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까지 구조가 밝혀진 단백질은 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
둘
뿐이었다. 1965년 마침내 라이소자임의 구조가 규명됐는데 단백질로는 세 번째, 효소로는 처음이었다. 당시 존슨은 라이소자임의 기질(효소가 인식하는 대상)인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구조를 밝혀 연구를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제한군 원숭이(왼쪽)와 대조군 원숭이(오른쪽)의 모습에서 노화 차이를 가늠하기 어렵다.
둘
다 27살이다. - NIA 제공 사실 장수 유전자에 관련된 논란은 임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별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 칼로리 제한으로 수명이 늘어나는 게 중요하지 여기에 SIRT1 유전자가 ... ...
미래창조과학 국제컨퍼런스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활성화하고 효과적으로 융합하는데 필요한 아이디어와 식견을 공유하는데 중점을
둘
전망이다. □ 특히 이번 행사에는 세계적인 발명가이며 미래학자인 ‘레이먼드 커즈와일’ 박사가 참가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전망과 미래예측에 대해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 레이먼드 커즈와일(1948.2월) :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말의 23번과 24번 염색체가 됐음이 밝혀졌다(그 반대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둘
의 염색체는 전반적으로 구조가 유지돼 있다. 따라서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에서 염색체 쌍이 배열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1974년 학술지 ‘세포유전학’에 발표된 한 논문을 보면 감수분열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 ▽정영춘 박사=제약 분야에서는 성공하려면 ‘최초냐 최고냐’
둘
중 하나가 확실히 돼야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최초’에 집중하려면 차별화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곳에 있으면 중국 사례에 집중하게 되는데, ‘우시팜’이라는 회사가 인상적이었다. 임상,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12
먹여 살릴 산업입니다. 위험성이 크고 투자도 많이 해야 하지만 세계적인 신약이 하나
둘
나오고 글로벌 제약기업이 창출된다면 국내 바이오 연구와 제약산업의 미래는 밝을 것입니다.” ●병원의 축적된 임상정보를 R&D로 이어가는 시스템 필요 안 국장은 기업과 함께 병원도 새롭게 변할 필요가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집중 지원했다. 이로부터 3년 뒤인 1995년부터 생명공학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물들이 하나
둘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교수는 “2000년도 까지 영향력이 높은 잡지에 실린 연구가 10~15편 내외였는데 2000년 이후 급속도로 늘어났다”면서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는 생명공학의 기초 발전에 큰 도움이 ... ...
이전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