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끝"(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동아사이언스 l2018.08.11
- 탐사대원들에게 돌고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드론을 이용한 항공 촬영을 끝으로 현장 탐사를 마무리한 대원들은 주변 곳곳에 쌓여있는 쓰레기를 치우는 활동을 했다. 이후 다시 연안생태학습장에 모여 이날 관찰한 기록을 발표하고 궁금한 점을 질문하는 시간을 가졌다. 탐사를 이끈 김미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전에 우선 성격에 대한 간단한 사실들을 알아보자. 1. 성격의 다섯가지 요소: 오랜 연구 끝에 성격에 대해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합의는 사람들의 성격이 크게 다섯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Digman, 1990).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성실성(conscientiousness), 외향성(extraversion), 원만성(agreeableness),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2018.06.26
- 시간과 차이가 없었다. 동영상으로 이 장면을 보면 실감이 난다. 해당 동영상에서 끝이 뾰족한 물체를 집을 때 아픔을 느껴 반사적으로 얼른 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사이언스 로봇공학 제공 비싼 가격이 걸림돌 그런데 왜 단순 촉각이 아니라 부정적인 감각인 통증까지 느끼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완화된다는 연구결과 있다. 다음 중 포드맵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정답은 에세이 끝에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개인에 따라 포드맵이 소장에서 소화되는 정도와 대장에서 발효되는 정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우유에 들어있는 이당류 젖당(유당)도 포드맵이지만 소장에서 젖당분해효소가 충분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La France)’다. 라 프랑스는 꽃의 형태가 아름답고 봄에서 가을까지 피는 데다 긴 꽃대 끝에 큼직한 한 송이만 폈기 때문에 꽃꽂이에도 그만이었다. 원예의 관점에서 라 프랑스는 이전의 장미품종들과 격이 달랐다. 라 프랑스는 ‘하이브리드 티(Hybrid tea. 굳이 번역하자면 ‘잡종 차)’로 불리는 ... ...
- 南의 한의학, 北의 고려의학이 협력하면? 과학동아 l2018.04.30
- 북한은 1990년대 이후 경제난과 동구권 국가들의 붕괴로 신약 공급체계가 와해됐다. 벼랑 끝에 몰린 북한이 선택한 전략은 고려의학을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남한의 한의학 정부연구기관인 한국한의학연구원에 해당하는 북한 고려의학과학원을 중심으로 2016년에는 5만여 건의 민간요법을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보탰다면, 나는 행복하다.” 호킹은 자서전의 마지막 문장을 이다지도 담백하게 끝냈다. 확실한 건 호킹이 남긴 유산은 그가 생각한 ‘무언가’보다는 훨씬 클 것이라는 점이다. 발췌: 스티븐 호킹 자서전 '나, 스티븐 호킹의 역사' ▶과학동아 4월호에서 더 자세히 보기 (특별부록 ‘굿바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들어가 자리를 잡는다. 이렇게 양극의 리튬이온과 전자가 음극으로 다 옮겨가면 충전이 끝난 것이다. 조재필 교수의 말에 따르면 흑연에 리튬이온과 전자가 채워지면서 놀라운 변화가 일어난다고 한다. 눈을 감고 심안(心眼)으로 그 장면을 그려본다. “흑연 사이로 리튬이온이 들어가면 시커먼 ...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2018.03.15
- 통해 “아이스크림 맛있게 먹으라”는 말뿐이었지만 호킹 박사는 3차까지 이동하면서도 끝까지 자리를 지켰다. 강연 중인 스티븐 호킹 박사. 그는 강연과 책 집필 등으로 활발히 활동했다. - 위키미디어 대중과 소통하길 즐기는 과학커뮤니케이터답게 영화와도 인연이 깊었다. 스타트렉이나 ...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동아사이언스 l2018.02.25
- 네안데르탈인이 지구에서 자취를 감추기 전 마지막까지 생존했던 지역은 스페인 서쪽 끝 지브롤터의 동굴이었다. 네안데르탈인은 이곳에서 약 2만 8000~4만 년 전 마지막 흔적을 남긴 뒤 지구에서 자취를 감췄다. 연구 결과는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은 인지 능력이 다르며, 특히 예술은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