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DGIST 연구팀, 혈액 속 암세포 자동 분리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아기유니콘 200 육성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펠레메드는 김용철 GIST 생명과학부
교수
가 2019년 창업한 회사로 내성폐암과 급성골수성 백혈병 등 8개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은 투자금 20억 원 이상을 유치한 업력 7년 이내의 유망 스타트업 60개 업체를 발굴해 ... ...
혈액세포, 조혈모세포만 만드는 게 아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전구세포를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러나 몇 주간만 유지되는 데 그쳤다. 카마르고
교수
는 “몇 개 유전자를 추가해 배아 다분화능 전구세포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면 골수 이식을 더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누구나 자유롭게 돌아다닐 권리가 있다" 보행장애 극복을 꿈꾸는 로봇공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공경철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 대전=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공경철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는 세상의 모든 보행장애를 극복하겠다는 일념으로 15년째 로봇 ... 문화를 확산하는 활동과 함께 반드시 더 뛰어난 기술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공
교수
연구팀. 대전=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 ... ...
코로나 3차 접종, 오미크론에 효과 있지만 일시적...감염으로 형성된 면역력은 1년 이상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3차 접종까지 마친 경우에는 100%에 달했다. 레이스 아부하다드 카타르웨일코넬의대
교수
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최적의 보호는 이전에 감염된 사람들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방역당국은 지난 4월부터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4차 접종을 시행하고 있다. 60세 이상의 4차 ... ...
수리모델 분석가들 "코로나 감소세 2주뒤 하루 확진자 3000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정일효 부산대
교수
팀, 심은하 숭실대
교수
팀, 이창형 UNIST
교수
팀, 황형주 포스텍
교수
팀의 예측이 각각 담겼다. 이들은 “15일까지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했다”며 “각 그룹의 수리모델링 방법과 모델 모수의 다양성으로 인해 연구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프라운호퍼와 한국 기술자의 몰락
2022.06.16
다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한국의 프라운호퍼를 원한다면 정선양 건국대
교수
는 독일의 프라운호퍼식 모델을 제대로 한국에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프라운호퍼연구회의 성공요인으로 꼽은 다섯 가지 특징은, 왜 한국식 연구회 제도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헤매고 있는지를 ...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7994명 1주일 연속 1만명 아래…"이달 말 3000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9 유행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창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수리과학과
교수
팀은 최근의 유행세가 이어지면 이달 22일 5214명, 29일 3956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④ GPS 신호로 우주에서 대기 관찰하는1 초소형위성 '스누글라이트-2'
동아사이언스
l
2022.06.15
장착해 대기를 관측함으로써 우주에서 활용가능한지 파악하는 임무도 진행한다. 기
교수
팀의 큐브위성 개발 도전은 이번이 두 번째다. 2015년 큐브위성 경진대회에서 선정돼 2018년 12월 발사한 2U 위성 스누글라이트는 우주용 GPS 수신기 개발과 검증을 목표로 했다. GPS 수신기가 정상 동작하고 ... ...
코로나19 신규 치료제 개발 중단 우려 커져...임상참가자 모집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려면 충분한 임상 참가자 모집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호만
교수
는 “화이자가 개발한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에 내성을 갖는 변이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팍스로비드보다 새롭게 효과적인 약물 개발이 필요하다는 학계의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수수께끼 풀리나
2022.06.14
여러 정황상 DNA가 RNA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자 1986년 미국 하버드대의 월터 길버트
교수
는 초기 지구에서 자기 복제 능력이 있는 RNA 가닥으로 이뤄진 분자 생명체가 등장한 것이 생명의 기원이라는 RNA 세계 가설을 제안했다. RNA 세계는 DNA냐 단백질이냐라는 논쟁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든 대단히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