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의 차기 교황 예측 빗나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예측은 빗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부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8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AI를 활용해 차기 교황을 예측한 연구논문을 소개했다. 알베르토 안토니오니 스페인 마드리드 카를로스3세대 수학과 교수팀이 6일(현지시간)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공개한 ... ...
전극·전해질 밀착시켜 실리콘 배터리 상용화 앞당겨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구조인 ’IEE(In Situ Interlocking Electrode–Electrolyte)‘ 시스템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최근 게재했다고 9일 밝혔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 노트북 배터리는 대부분 음극 소재로 흑연을 사용한다. 실리콘은 차세대 음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 ...
의료용 플라스틱 분해하는 병원균 첫 발견 '비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폴리카프로락톤(PCL)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셀 리포츠'에 8일(현지시간) 게재됐다.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효소는 대부분 자연 환경 중 미생물에서만 발견됐다. 이번 연구에선 병원균도 자연 미생물과 같이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 ...
검은 배경 도입하자 극미량 바이러스 포착하는 '진단 키트'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낮은 민감도와 위음성 발생 문제를 개선한 진단키트를 구현하고 연구 결과를 4월 9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진단키트의 배경을 검은색으로 설계하는 구조적 개선 방법을 도입했다. 기존 키트는 흰색 배경을 갖고 있다. 흰색 배경에 금 ... ...
기후정책의 숨겨진 위험…탄소 배출 줄고 독성 배출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목표 간 상충을 정교하게 고려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매니지먼트 사이언스’에 지난달 22일 게재됐다. doi.org/10.1287/mnsc.2023.03560 이나래 KAIST 기술경영학부 교수(왼쪽)와 아심 카울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 경영대학 교수. KAIST 제공 ... ...
2020년생 52% 평생 폭염 겪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경우 1만 명 중 1명만 겪을 가능성이 있는 극단적인 기후환경을 뜻한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7일(현지시간) 게재됐다. 분석 결과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할 경우 2020년생의 약 52%가 이전에 관측되지 않은 '극단적인 폭염'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며 살아가야 하는 ... ...
달걀 눕혀야 잘 안깨져…상식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따라 달걀이 깨지는 현상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8일(현지 시간) 국제
학술
지 '커뮤니케이션즈 피직스'에 공개했다. 타원형인 달걀은 길이가 긴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했을 때 충격을 잘 분산시키고 변형에 더 강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보다 깨질 가능성이 낮다는 ... ...
뇌·센서 없어도 장애물 넘고 헤엄치는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소프트웨어와 센서 없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9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은 튜브로 만들어진 다수의 다리를 갖고 있다. 다리에 공기가 주입되면 다리들이 진동하며 무작위로 흔들린다. 다리들은 각자 움직일 수 있지만 지면과 ... ...
[과기원NOW] 포스텍, 배뇨장애 '개인 맞춤' 치료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경조절 기술을 개발하고 지난 2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신경이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외부 자극에 얼마나 반응하는지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신경에 전기자극을 줄 때 ... ...
뇌 조직 16배 확대하니 세부 관측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동물실험을 통해 뇌를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고 연구 결과를 7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뇌 조직 1㎣ 크기에는 수천 개의 미세 신경세포와 수백만 개의 시냅스(신경세포 접합 부위)가 포함돼 있다. 뇌의 작동 메커니즘을 관찰하기 쉽지 않다. 연구팀은 작은 세포 구조를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