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41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화학연. 탄소중립화학공정실증센터 6일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상호간 업무협약(JDI) 체결한다. BfR은 소비자 보호와 안전을 증대하기 위해 식품, 농약, 살
생물
제 등에 포함된 다양한 화학물질의 안전성에 대해 과학적 의견을 제시하는 독일 기관이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6일 강원특별자치도청에서 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 ...
나노소용돌이 일으켜 코로나19 조기 진단 '일회용 칩'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기계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미세한 '나노소용돌이'를 일으켜 병원체나
생물
의 유전물질인 핵산을 손쉽게 농축하고 검출해 질병을 더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일회용 칩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진단에 쓰이는 일회용 칩은 고체 표면에 병원체를 붙여 포집한다. 하지만 증상이 거의 없는 ... ...
문어에서 발견한 3억8000만년 전 성염색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등장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고대의 성염색체"라고 설명했다. 나비를 포함한 일부
생물
들도 ZZ/ZO 성 결정 방식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까지 가장 오래된 동물 성염색체는 약 1억8000만 년 전 철갑상어류에서 진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2022년 12월 '국가 합성
생물
학 육성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에는 '합성
생물
학 핵심기술개발 및 확산전략'을 마련해 국가 차원의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방보안연구소와 군사용 위성 보안 및 사이버 보안 분야 연구개발(R&D)을 수행한다고 5일 밝혔다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봄학기 정규교육과정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꼽히는 메탄가스를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학 소재인 메발론산 생산에 이용하는 합성
생물
학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인물이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플랫폼인 '사이언스온(ScienceON)'이 이용자 우수 활용 사례를 담은 '2021~2023 ScienceON 활용사례집'을 발간했다고 ... ...
미국 의료진이 스위스 인공조직에 로봇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메이오클리닉 소속 의료진이 혈전 절제술을 시연한 대상은 합성물질을 사용해
생물
체의 조직을 본따 만든 인공 조직이다. 어려운 수술을 미리 연습하거나 시뮬레이션을 할 때 활용된다. 연구를 이끈 넬슨 브래들리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 수석과학고문은 “미국에선 1억1300만명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곪는 것이 미
생물
이 증식하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산욕열로 인해 사망에 이르는 것은 미
생물
이 자라서 패혈증에 이르기 때문일 것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훌륭한 착상이었지만 리스터는 문제제기만 정확히 했을 뿐 해결책을 제시할 능력은 없었다. 그래서 수술후 발생하는 이차감염을 ... ...
수학 싫은 생명과학자가 데이터·AI 과학자와 만난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2
실험하는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계산만으로 생명 현상을 살피는 계산
생물
학 혹은
생물
정보학 분야가 있지만 굉장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대부분의 생명 현상은 결국 실험실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이해돼왔다. 그런데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나 직접 개발한 로제타폴드 등이 나오면서 ... ...
[과기원NOW] 포스텍,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1
효율성을 가진 ‘인간의 뇌를 닮은’ 차세대 AI 반도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생물
학적 특성을 구현해 인간의 시냅스보다 1만 배 빠른 응답 속도와 매우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초고효율 소자를 만들었다. 향후 AI 및 머신러닝을 적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 ...
우수 농작물 개량 핵심 '감수분열' 10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정자와 난자를 생산하며 유전적으로 완전히 같지 않은 개체를 만들어낸다. 이 때문에
생물
다양성을 이루는 핵심 요소로 여겨진다. 감수분열은 농작물의 우수한 형질을 골라 재배하는 육종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보통 동물과 식물 종에서 염색체당 교차가 최소 1회부터 최대 3회까지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