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뉴스
"
공개
"(으)로 총 10,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배아 발달 '일시정지 버튼' 발견…시험관 아기에 도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9
배아에도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공개
됐다. 일부 포유류는 배아와 모체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배아 발달을 잠시 멈추고 휴면 상태에 들어가 발달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주로 배아가 자궁에 착상하기 직전인 '배반포' 단계에서 발달을 ... ...
[사이언스영상] 자기 몸의 4배 뛰는 로봇
SEIZE
l
2024.09.29
여러 모듈이 한 몸처럼 움직일 수 있고 부위별로 달리 움직이게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이
공개
한 영상에서 로봇은 좁은 틈을 기어가거나 바퀴처럼 굴러가고 또 자기 몸의 4배만큼 점프하기도 한다. 이번 연구의 공동 1저자인 재커리 요더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 박사과정생은 "다섯 가지 목적을 ... ...
환자 줄기세포로 세계 최초 당뇨병 치료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환자 1명의 1년간 관찰 결과를 보고하고 연구결과를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공개
했다. 제1형 당뇨병은 몸의 면역체계가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 내 세포를 공격해 파괴하는 자가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보통 평생에 걸쳐 외부 인슐린에 의존해야 한다. 연구팀은 ... ...
[사이언스영상] 신경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안경
SEIZE
l
2024.09.27
024 메타가 메타 커넥트 2024 행사에서 새로운 AR 안경 '오리온' 시제품을
공개
했다. 저커버그 메타 CEO는 안경을 소개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안경”이라고 말했다. 안경 안에는 마이크로 LED가 있다. 덕분에 실제로 주변을 보면서도 안경에 비친 홀로그램 그래픽을 7 ... ...
3600년 전 미라 옆 치즈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쓰이는 미생물의 진화 과정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25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공개
했다. 20여 년 전 중국 북서부 타림 분지 샤오허 공동묘지에서 청동기 시대의 미라들이 발견됐다. 당시 과학자들은 미라의 머리와 목에 묻은 흰색 물질을 발효 유제품의 일종으로 추측했지만 정확한 정체를 ... ...
[과기원NOW] KAIST, 폐플라스틱 분해·재활용을 위한 고성능 탈염소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촉매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공개
됐다. 열분해를 이용한 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은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플라스틱 폐기물의 분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큰 주목을 받는다. 연구팀은 폐플라스틱 재활용 과정에서 제거가 필요한 ... ...
'구리 호일'로 리튬 전지 폭발·화재 위험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 7월 5일 국제학술지 '에너지 & 환경과학'에
공개
됐고 9월 21일 속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덴드라이트는 전극 등 금속 기판 위에 리튬 금속이 불균일하게 쌓이며 바늘처럼 뾰족하게 성장하는 것을 말한다. 전지 안에서 덴드라이트가 계속 자라나면 전지 효율이 ... ...
북극 생태계 위협하는 '수은 오염' 경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3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
됐다. 북극 대구와 북극곰에서 예상보다 높은 농도의 수은이 검출됐다. 수은 오염으로부터 북극을 보호하려면 유입 경로와 출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지만 기존 분석법은 수은의 총량 측정에 집중돼 ... ...
'팝콘'처럼 부푼 특이 외계행성, 동쪽과 서쪽 대기 온도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공개
했다. 2017년 발견된 WASP-107b는 지구가 태양 주변을 돌듯 처녀자리에 있는 별인 'WASP-107'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WASP-107b는 목성과 비교하면 부피가 80%지만 질량은 10%도 되지 않아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 중에서 ... ...
우주방사선이 반도체 고장 유발하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2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7일 국제학술지 '나노머티리얼즈(Nanomaterials)'에
공개
되고 8월호 표지논문으로도 선정됐다. 연구팀은 전자를 차단하는 절연체와 이황화몰리브덴을 층으로 쌓고 전극으로 연결해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 이후 트랜지스터에 방사성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