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등장하는 사례는 꾸준히 늘어왔다. 2015년까지는 91편에 불과했으나 2016년부터는 100편을 넘어섰고, 2019년과 지난해에는 200편이 넘는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논문을 많이 발표한 기관은 김일성종합대학(김일성대), 국가과학원, 김책공업종합대학(김책공대) 순으로 나타났다.스스로 연구할 수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주 거울의 전체 면적이 6배 가까이 넓어졌고, 이로 인해 집광력을 포함한 성능이 100배 더 좋아진 거랍니다. 덕분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빅뱅 이후 10억 광년 뒤의 빛을 추적했다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적외선으로 보다 먼 데서 오는 희미한 빛을 포착한답니다. 최소한의 재료로 가장 넓은 면적 ... ...
- [특집] 식중독균 전문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국내에 균이 없으면 수입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한 데다, 비용도 국내에서 구할 때보다 50~100배 가량 비쌌어요. 그래서 식중독균을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2017년, 식중독균 자원센터가 세워진 거예요.”연구관의 설명을 들으며 수많은 식중독균이 보관된 거대한 저장고를 보자,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집을 찾아 돌아오는 사막개미의 능력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크기를 한번 생각해봐. 나는 몸길이가 불과 1㎝밖에 안 된다고! 1초 동안 내 몸길이의 100배만큼 움직이는 셈이니, 내가 치타보다 더 빠르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또 사막에서 살려면 먹이를 구한 다음 길을 헤매지 않고 재빨리 집으로 돌아올 수 있어야 해. 내가 어떻게 길을 헤매지 않고 돌아오는지 ...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58개국 3만 명의 시청자들과 함께 했다. 현재 깔때기에 남은 피치가 다 떨어지려면 앞으로 100년이 더 필요하다고 한다. 폴링의 삼중나선, 틀린 연구지만 박제된 사연은? 최초로 노벨 과학상과 평화상을 모두 받은 교수가 있다. 라이너스 폴링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는 화학 결합의 성질을 ... ...
- [논문탐독] 나노분자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분석 기업 ‘이밸류에이트 파마’에서 발표한 ‘2019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100대 약품’ 중 절반 이상이 바이오의약품입니다. 바이오의약품 품질 결정짓는 시알산바이오의약품은 유전자 재조합과 세포 배양을 통해 합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전자 재조합은 원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는 ... ...
- [매스크래프트] #24. 퓨처 킴의 산타 마을, 특명! 선물을 빨리 배달 하라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외판원 문제 방문해야 할 집이 10곳만 되어도 경우의 수는1=362만 8800가지나 됩니다. 100곳, 1000곳으로 늘어나면 손으로 계산하기 어렵겠지요? 수학자는 계산이 번거로운 외판원 문제를 컴퓨터를 사용해 풀어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나타낸 것을 ‘알고리듬’이라고 ... ...
- 지사탐, 우동수비대 모여라! 동물· 곤충 사진 잘 찍는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생물을 찍기에 좋은 카메라가 있어요. 바로 캐논의 ‘파워샷 줌’이지요. 파워샷 줌은 100~400mm까지 광학 줌이 돼,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멀리 있는 생물을 확대할 수 있어요.파워샷 줌은 셔터 스피드도 최대 ‘1/8000초’로 매우 빨라요. 셔터 스피드는 카메라 셔터가 닫힐 때까지의 시간이에요. 셔터 ... ...
- 내 이름은 파랑? 초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반면, 차가운 색에서는 ‘초록’으로 여러 색을 뭉뚱그려 표현한 것이다. 실제로 다른 100개의 언어를 분석한 결과도 치마네족의 실험 결과와 비슷하게 따뜻한 색을 표현한 말이 차가운 색보다 많았다.연구팀은 그 이유를 다양한 배경과 피사체가 담긴 2만 장의 사진을 분석해 찾아냈다. 따뜻한 색은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지금 알아냈지만, 사실 10년 전에 외계행성에서 보낸 신호가 지금 포착된 것도 있고, 100년 전, 200년 전에 보낸 신호가 몇 년 전에 포착돼서 컴퓨터에 저장돼 있던 걸 지금 분석해서 알아낸 것도 있어. 그러니까 시간 차이가 좀 나기는 나는데, 하여튼 요즘 최근 몇 백 년 사이에 은하계의 여러 종족들이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