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찰
검사
시험
셤
판단
조사
검역
d라이브러리
"
진단
"(으)로 총 1,525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MRI도 해봅시다”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런데 CT와 MRI는 어떻게 다를까. 질병의 조기
진단
에는 PET가 좋다는데…. 이제 21세기 청진기 역할을 하는 다양한 의료영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테슬라*공간의 한 지점에서 자기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국제단위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세포와 병든 세포를 가려낼 수 있는 셈이다. 이 기술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을
진단
하는 데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다른 연구자가 미처 보지 못한 분야를 먼저 개척하길 즐긴다는 조 교수는 누구보다도 ‘발상의 전환’에 강하다. 그는 “안경에 정밀한 거울을 설치해 눈의 망막 속으로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지질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질병에 따라 혈장의 양과 조성이 변하기 때문에 질병을
진단
할 때 이용할 수 있다세포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반응을 수식으로 만들어 컴퓨터에 입력해 실제 세포와 비슷한 환경을 만든 프로그램 또는 가상모델 이를 이용하면 어떤 약물을 주입하거나 조건을 변화시켰을 때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5단계로 제시했다.첫 번째는 부정(denial)의 단계로 사망선고를 받은 환자는 “의사의
진단
이 잘못됐다” “내게 그런 일이 일어날리 없다”는 반응을 보이며 여러 병원을 전전한다. 이 경우 치료를 거부하기도 하는데, 의사는 환자가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줘야 한다. 두 번째는 분노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초기에 다량의 융모성 성선(性線)자극호르몬(융모성 고나도트로핀)이 분비되어 임신의
진단
에 이용되기도 한다생물학적으로 배(胚)기관과 모체조직이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면서 물질교환의 역할을 하기 위한 복합구조 일반적으로 포유류에서 볼 수 있는 배(胚)의 양육기관을 말한다 사람의 태반은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도중 상대의 말을 못 알아들어 ‘사오정’이란 별명까지 얻었다. 결국 병원에 갔더니
진단
결과는 ‘소음성 난청’이었다.국내외 전문가들은 청소년의 소음성 난청이 MP3플레이어처럼 이어폰을 사용하는 개인용 음향기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난 7월 미국 청각개선연구소(BHI)는 16~34세 MP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앓고 있는 환자가 있는데, 아무래도 유전질환인 것 같아.”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진단
검사의학과 김종원 교수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가족력*이 있는 질병을 접하게 되면 자신에게 꼭 얘기해달라고 주위 교수들에게 부탁해뒀다. 어느 날 이비인후과 홍성화 교수는 난청환자인 C씨의 가족 중 ... ...
주사기여 안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약물을 자동으로 방출하는 똑똑한 약물방출시스템을 개발했다. 머지않아 의사의
진단
도 주사기도 필요 없는 ‘손톱 크기의 병원’을 우리 몸에 항상 지니고 사는 시대가 올 지도 모른다 ... ...
핏방울의 마술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좋을까요. 큰 병도 미리미리 치료할 수 있을 거예요. 최근 우리나라에서 간편하게 병을
진단
하는 초소형 혈액 검사기가 나왔어요.안녕하세요. 누가 개발한 거예요?삼성종합기술원의 과학자들이에요. 제 장점은 작고 빠르다는 거예요. 혈액 몇 방울만 넣으면 30분안에 여러 가지 병을 알 수 있죠. 또 ... ...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조기
진단
지표를 만들었다. 조기
진단
지표는 건강해 보이는 사람이 발병할 확률이 몇%인지 예측하는 참조표준이다. 예를 들어 내중막 두께가 매년 0.03mm씩 증가하면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확률도 매년 3.1배씩 증가한다는 식이다. 심뇌혈관 질환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