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1인당 하루에 평균 280리터(L)의 물을 사용한다고 해서 놀랐어요. 토론하기 전 전문적인
지식
을 쌓을 수 있었답니다. 저는 ‘물순환 위원회’에서 필리핀 대표단을 맡았어요. 필리핀은 기후변화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받는 국가예요. 개발도상국임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을 위해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이루어져 있다.”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만약 인류에게 단 한 문장의 과학
지식
만 전할 수 있다면 무엇을 전하겠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어요.원자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1766년 9월 6일에 태어난 영국의 화학자 존 돌턴이에요. 돌턴은 두 원소가 결합할때 일정한 질량 비율을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매우 중요해요. 뇌가 몸에 제대로 연결되지 않으면 해동에 성공하더라도 기억과 감정,
지식
이 되살아날 수 없거든요. 지난 해에는 중국 연구자들이 쥐의 머리를 바꾸는 이식 수술에 성공했어요. 또 2016년에는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 김시윤 연구교수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원숭이 머리를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말씀 부탁드려요.로봇은 여러 과학 분야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어요. 다양한 분야의 과학
지식
이 모두 필요하지요. 오션원을 만들 때에도 기계공학자, 수학자를 비롯해 많은 과학자들이 함께 했답니다.그러니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과학적인 사고력을 길러 보세요. 또 요즘은 아두이노처럼 공학으로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읽으려면 우선 당시 우주를 연구하던 학자들 사이에서 어떤 논란이 있었는지에 대한 배경
지식
이 필요하다. 호킹이 박사학위 과정에서 연구하던 1960년대에는 빅뱅(Big Bang) 우주론과 정상상태(Steady State) 우주론이 경쟁하고 있던 상황에서 빅뱅 우주론을 지지하는 관측 증거가 나오면서 그쪽으로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채 중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제 관건은 차별화된 결과를 내는 것이다. 별다른 전문
지식
이 없어도 오픈소스의 데이터만 바꾸면 대충 쓸 만한 결과가 나오는 상황에서, 앞으로는 공개된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해 더 좋은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이다. 알파고 기술을 활용한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와 를 읽었고요. 실제로 이 책을 보면서 과학적인 사고 방식을 익히고 배경
지식
을 얻은 게 큰 도움이 됐어요. 과학책을 읽다가 수박씨를 활용할 아이디어를 떠올렸던 것처럼요. 친구들도 책을 읽다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있다면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해 보세요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다양한 덕목이 사회 저변에 확산되는 게 중요하다는 데에는 필자도 전적으로 동의한다.
지식
을 이해하고, 이런 이해를 토대로 상대방과 생각과 느낌을 나누고, 이런 기반 위에 서로 신뢰를 쌓아가는 과정은 인류가 지금까지 오랫동안 추구해 온 덕목이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숙제처럼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있다. ‘빅뱅에서 인간까지’는 인류가 지닌 궁극적인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을 두루 다룬 책이다.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필수강좌를 강의하는 ‘마그나 히스토리아 연구회’ 소속 과학자 28명이 함께 집필했다. 후마니타스칼리지는 신입생 대상의 교육 과정으로, 과학적 사고를 하는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납득할때까지 혼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이런 차이 때문일까? 그 집단의
지식
인도 훌륭한 업적을 남겼지만, 그로텐디크는 현대 수학을 완전히 바꿔놓는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그로텐디크는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IHES)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런데 순수한 학문 연구기관이 길 바랐던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