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답
정답
해답
해소
해결
해법
d라이브러리
"
정해
"(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제18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그리고 평소에 호기심을 갖고보던 것들을 조사해보자. 나만의 통계포스터 주제를
정해
신나게 통계분석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통계가 내 안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지 않을까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푸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문제를 많이 푸는 것이 수학의 본질은 아니니까요.
정해
진 논리 안에서 추상적인 것을 볼 수 있고, 자유로운 상상을 하는 게 수학의 본질이라고 생각해요.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풀어 보고, 자기만의 문제를 만들어 보며 재미있게 수학을 즐겼으면 합니다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잔해가 누이-나무의 양분이 되기를 바라면서.나는 밤이면 누이와 닮았다고 내 멋대로
정해
버린 나무 밑에서 탈수증과 설사로 고생하며 알 수 없는 한기에 부들부들 떨며 될 수 있는 대로 고통스럽게 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류와 나의 모든 죄를 속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고독과 더 많은 고통이 ... ...
[특별 인터뷰] 부지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많이 볼 수 없어서 너무 아쉬었어요.수원청개구리 탐사는 우리만의 구역을
정해
탐사를 하잖아요. 이렇게 개구리를 찾는 숨바꼭질 같은 탐사가 재미있었고, 꼭꼭 숨어 있던 개구리를 발견했을 때 기분은 날아갈 것 같았어요.전 매미탐사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단연 최고의 장면은 매미의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아닐까.알파고는 바둑 두는 법을 어떻게 배웠을까? 사람이 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처럼
정해
진 교육과정에 따라 공부했을까? 알파고는 ‘딥러닝’을 활용해 프로 바둑기사들의 패턴을 학습했다.딥러닝은 ‘기계학습’의 방법 중 하나다. 기계학습이란 컴퓨터에게 방대한 데이터를 주고 스스로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지금’들은 영원히 존재하지만 ‘플라토니아’라는 추상적 공간의 물리학에 의해
정해
진 배열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지금들은 서로 연관성을 갖고 있어서 시간이 흐르고 있다는 착각을 일으킨다. 사실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무엇인가가 어떤 상태에 있다는 것은 환상이다.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필요한 비용을 90% 가까이 줄일 수 있지요.이에 블루 오리진은 우주선과 분리된 뒤에 다시
정해
진 장소로 착지하는 발사체를 개발했어요. 그리고 2015년 11월에 발사해 지상으로 착륙시킨 발사체를 한 달 뒤인 12월에 재사용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제 발사체를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게 된 거예요.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백의 강한 돌 옆으로 자신의 돌을 붙였다. 만약 사람이었다면 중앙과 좌변의 형세가
정해
진 뒤에 자신이 침투할 위치를 고민했을 터였다. 나중에 필요에 따라 A나 B로 붙이는 게 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알파고는 그러지 않았다. 승부가 기운 5국 후반부에서도 알파고는 맛을 남기지 않고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9곳의 피부가 쳐지도록 만들기도 해요.이때 얼만큼 바뀌도록 하느냐는 빅데이터가 결
정해
요. 김익재 박사팀에서 한국인400명의 얼굴 자료를 모아 얼굴형 별로 나이가 들면서 어떻게 변하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값을 함수로 만들었거든요. 폴리 스케치는 이 함수를 따라 각 얼굴형 별로 나이가 들면서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생긴다. 예를 들어, 알파고 같은 성능이 뛰어난 인공지능이 의료시스템에 적용됐다고 가
정해
보자. 진단이 까다로운 환자의 데이터를 입력했는데, 인간 의사 입장에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진단명과 치료법이 제안됐다면 의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인공지능이 오류를 낸 것이라고 봐야 할까,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