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문제가 있습니다. 케이크를 나눠먹는 사람이 4명만 되도 언제 끝날지, 칼질 횟수가 몇 번 이하인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이 방법을 쓰면 어떤 큰 수보다 더 많이 칼질하는 방법도 있다는 게 증명돼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명이서 케이크를 나눠 먹는다고 하면 1억 번 또는 원하는 어떤 수보다 ... ...
- [재미] 피자를 더 많이 먹는 방법!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부분에 들어 있다면 회색 부분의 총량이 흰색 부분의 총량보다 훨씬 많지요. 피자를 3회 이하로 잘랐을 때는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 경우에만 총량이 같았어요. 만약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다면, 원의 중심이 들어 있는 색깔의 총량이 훨씬 많았고요. 그러니까 상대방보다 내가 피자를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표시한 부분은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 기자가 추가한 내용이다.)리처드 로버트(이하 로버트) - 1993 노벨 생리의학상로버트 컬(이하 컬) - 1996년 노벨 화학상장마리 렌(이하 렌) - 1987년 노벨 화학상 Q. GMO 반대를 비판하는 성명서에 서명을 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로버트: 한 순간에 결정한 일은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씨앗이라는 뜻에서 ‘시드’라고 부르는데, 요즘은 시드의 개수가 1000조~1경 개 이하면 직접 시도해서 다 풀어낼 수 있다.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만들어 계산하기 힘들게 만드는 방법밖에 없다. 실제 개인정보 유출사고는 암호가 문제가 일어나는 게 아니다. 정작 암호가 해독돼도 그 안의 정보가 ... ...
- [과학뉴스] 차갑고 우아하게 태어난 67P 추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이하 추리, 위 사진)의 탄생 비밀이 밝혀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뵨 다비드손 박사팀은 추리가 작은 먼지가 차곡차곡 뭉쳐서 우아하게 만들어진 혜성이라고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혜성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 ...
- [과학뉴스] 화성의 달은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빛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두 위성이 지름이 마이크로미터(μm․100만 분의 1m) 이하인 미세한 입자로 구성됐다고 추론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두 위성이 화성의 마그마로부터 생긴 것이 아니라, 화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파편 원반의 가스가 응집해 생겼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구, 즉 섭입대가 북극에는 없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확장 속도가 1년에 1.2cm 이하인 가켈 해령을 ‘초저속 확장 중앙 해령’으로 분류하고 있다.하지만 확장 속도가 느리다고 활동이 미미한 것은 아니다. 지난 2001년 미국과 독일이 ‘아모레(AMORE, Arctic Mid-Ocean Ridge Expedition)’ 프로젝트를 통해 가켈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서식지가 파괴돼, 1940년대까지 약 5000~1만 마리에 이르렀던 개체수가 2006년에는 235마리 이하로 줄어들었다. 현재는 인도 정부가 직접 나서서 가비알의 수를 늘리려 애쓰고 있다. 야생에서 채집한 알을 곧바로 동물원의 인공배양기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아기 가비알은 동물원의 철저한 보호를 받고 ... ...
- 미스터리 1. 모래 없는 얼음 사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내리는 물의 양을 뜻하는 강수량이 적은 지역을 말해요. 보통 한 해에 평균 강수량이 25cm 이하인 지역을 사막이라고 하지요. 이런 지역 중에는 남극이나 그린란드처럼 일 년 내내 얼음이 얼어 있는 곳도 있어요. 이런곳을 ‘영구빙설사막’이라고 하지요.북극해 주변에 얼어붙어 있는 땅을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극지 전문가가 참석했다. 특별강연을 한 미국해양대기청(NOAA) 파블로 셀멘테-콜른 박사(이하 P)와 미국 국무부 해양환경과학국의 에반 블룸 해양극지과장(이하 E)을 만나 인터뷰 했다(동일한 질문의 답은 붙여서 정리했다).Q 극지 공동연구에서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P ‘IABP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