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족"(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도과학동아 l1986년 05호
- 자이나 교도는 약 3백만명에 불과하다. 아리안족이 인도로 이주하면서 선주민족을 정복하고 동화시켜 가는 과정에서 소위 카스트 제도라고 하는 특유한 사회제도가 발달했다. 바라문 또는 브라만(神官), 크샤트리야(武士), 바이샤(庶民), 수드라(奴婢)등의 네가지 성으로 나누고 사람은 ... ...
-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과학동아 l1986년 04호
- 0%가 이런 소수민족이라는 것. 그 중에는 수르제도의 이슬람교도들처럼 문화 수준이 높은 민족에서 이후가오족, 이고로토족, 카링가족, 틴기안족등 문명이 뒤떨어진 부족도 있다.루손섬에 사는 네그리토족은 체격이 작아 1m50을 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피부는 검고 머리칼은 곱슬머리로 짧다. ... ...
- 간질환에서 해방되자과학동아 l1986년 04호
- 하겠다. 그러나 아마도 그외의 다른 조건도 관여하리라 생각된다.즉,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이며 조상의 피를 대대로 물려받고 있으므로 혈액에 의한 전파가 특징인 이 질환의 빈도가 혼혈이 심한 구미제국과는 차이가 날 것이다. 또 동양의 특징인 대가족제도도 가족내 전파를 쉽사리 이루어지도록 ... ...
- 생산적 발명풍토를 조성하자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은 무엇인가? 어지러웠던 9백여회에 달하는 외부침략에 의한 민족수단 속에서도 오직 하나 우리 핏속을 통하여 맥맥히 흐르고 있는 장인(匠人)정신과 무한히 개발할 수 있는 두뇌자원뿐이 아니었던가. 우리는 이것을 너무 천시했고 근시안적인 자기 이익에만 급급했을뿐 ... ...
- 핼리별로 지구촌이 떠들석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있는데 과학은 이런 사실에 대한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분명히 141년에 '게르만'민족이 고대로마제국 침입을 시작했고, 374년경의 로마제국대혼란, 1531년에는 잉카제국이 멸망했다. 이렇게 핼리혜성이 나타나기 전후에는 큰사건이 많았다. 핼리 혜성이 흩뿌리는 고속의 개스분자가 태양풍이 부는 ...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에벤키, 네네츠, 한티, 만시, 추크치, 에벤, 나나이, 코랴크족 등이 있다. 이밖에 극소수 민족으로 나나산, 셸쿠프, 케트, 돌간, 울체, 우디게이, 에스키모족 등이 있다. 한국인의 시베리아이주 역사는 구한국말엽 1864년부터 시작되었다. 함경도 주민이 이르쿠츠크와 블라디보스토크에 이주한 후 ... ...
- 데이터베이스 이야기 이순신과 거북선과학동아 l1986년 03호
- 그래야 우리의 문화가 후손에게까지 전달되지 그렇지 않고서는 절대로 '역사깊은 배달민족'을 자랑할 수 없다. 데이타통신망을 왜 만드느냐고 생각하여 보자. 여기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왔다갔다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20년전에 경부고속도로가 생겼다. 처음 만들때에는 무어라고 말이 많았던 것도 ... ...
- 암석과학동아 l1986년 02호
- 화강암과 편마암이 전국토면적의 약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땅의 몸체가 되는 기반이 이루어지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30억년 전이다.중국과 만 ... 귀중한 암석들이 우리 나라의 도처에서 많이 발견되다는 것은 우리 국토의 자랑이요, 우리 민족의 귀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 ...
- 체질인류학이란?과학동아 l1986년 01호
- 거슬러 올라간다. 즉 경성제대 의학부 해부학교실에 체질인류학 연구팀이 짜여져 한국민족과 만주·몽고족을 대상으로 두개골 등의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것. 당시 연구팀에는 나세진 교수(84년에 별세)가 있었는데 나교수는 그 후 장신요교수와 함께 우리나라의 체질인류학회를 만드는 등 이 ... ...
- 체질로 본 한국인과학동아 l1986년 01호
- 일본인 남녀는 48.0%, 55.1%로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잘못 알고 있는 몽고반점우리 민족의 신생아 대부분에게서 보이는 몽고반점(mongolian spots)은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그 정확한 실체를 모르고 있다.청녹색의 빛깔을 띠는 몽고반점은 보통 출생시 아기의 엉덩이(천골 및 미골부위) 또는 등과 ... ...
이전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