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d라이브러리
"
미
"(으)로 총 1,823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년이란 시간은 이들의 이론이 실험적으로 검증되는 기간이었다. 이들의 발견이 상당히 흥
미
롭고 매우 그럴듯한 내용이었지만 여전히 하나의 ‘이론’ 에 불과했다.당사자인 그로스마저 수상 직후 노벨상기구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내가 ‘이것은 명백히 사실이다’ 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란‘품위 없는’ (Ignoble)이란 단어의 첫 두 글자인 ‘이그’ (Ig)를 노벨상과 합성한 말.
미
하버드대의 과학잡지(AIR)가 과학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1991년 제정했다. 올해 시상식은 9월 30일 하바드대에서 열렸으며 배꼽 잡는 주제는 물론 세태를 비꼬는 내용도 담고 있다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새로운 별이 출현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별이 죽음에 다다랐다는 마지막 신호다.흥
미
롭게도 케플러 초신성은 우리은하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초신성이다. 1006년 5월 낮에도 보일 정도로 밝은 초신성이 출현한 것을 비롯해 1054년에 목성 밝기의 초신성이 나타났고 1572년 11월에 케플러의 스승인 ... ...
프린터 지문으로 위조지폐범 찾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문’ 을 이용해 문서를 출력한 프린터를 찾아낼 수 있게 됐다.
미
퍼듀대 에드워드 델프 교수팀은 프린터를 이용한 문서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12번의 실험에서 11번이나 해당 문서를 찍은 프린터를 맞추는데 성공했다고 말했다.이들의 기술은 프린터가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의해 조절돼야 하는 것이다. 또한 단백질 분해 과정이 생성 과정과 상호작용을 하는지도
미
지수다. 지금까지는 교신이 있을 것이라는 심증은 있지만 물증은 없는 상태.국내에서도 2002년 단백질 분해 연구회가 조직돼 연구정보를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회원 중에는 원래 단백질 분해를 연구하던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체온이나 얼굴 표정, 시선의 변화로 거짓말 여부를 탐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
미
네소타의대 연구팀은 열촬영장비를 이용해 거짓말을 할 때 눈 주위 얼굴에 체온 변화가 생긴다는 사실을 ‘네이처’ 2002년 1월호에 발표했다.불안한 심리는 눈에서도 읽을 수 있다. 국립과학연구소는 조만간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2001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토마스 투셀 박사(현재
미
록펠러대 교수)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서도 RNA 간섭현상을 효율적이고 특이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siRNA의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게다가 2001년과 2002년 암브로스 박사 연구팀을 포함해 4개 연구팀이 1백5 ... ...
태양탐사선 캡슐, 추락 불구 상태 양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제네시스호가 2년반 동안 채집한 태양풍 입자들이 들어있는데 그 양이 고작 1g에도
미
치지 못한다. 시속 3백20km의 속도로 모래땅에 추락한 캡슐의 파손이 심할 경우에는 시료를 하나도 건지지 못할 수도 있다. 다음날 부랴부랴 캡슐을 회수해간 NASA의 연구자들은 핀셋으로 조심스럽게 캡슐 내용물을 ... ...
다윈의 핀치 부리 다양성은 단백질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편 같은 집단에 속하는 3종 사이에도 BMP4의 발현 패턴이 조금씩 달라 부리 형태의
미
묘한 차이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국 새로운 형태의 부리는 새로운 유전자가 생겨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유전자의 발현 시기와 양의 변화로 나타난 것이다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리보솜의 복잡한 구조를 밝혀낸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아다 요나드 박사와
미
예일대 톰 스타이츠 박사 연구팀도 향후 노벨상을 기대할 만하다고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일은 그만큼 어렵고도 중요하다.연구실을 이끄는 이지오 교수는 “약 자체의 구조는알지만 약이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