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초리
몽둥이
송골매
해동청
주걱매
종아리채
맹금
d라이브러리
"
매
"(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있는 기술은 개인무선네트워크(WPAN). 2.4㎓에서 작동하고 최대 55Mbps의 속도를 지원한다.또
매
장에서 마음에 드는 제품을 파악해 바로 대금을 결제하는 휴대폰도 나올 전망이다. 스마트카드를 내장한 이 휴대폰은 사용자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와 대금지불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특히 결제 전용 ... ...
동물실험으로 독살 판정한 선조들의 지혜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그러나 부모의 해골 위에 피를 떨어뜨려 스며드는지 여부로 친자를 감정할 수는 없다.
매
장한 뼈에 지방 성분이 분해되지 않았거나 골막이 유지돼 있으면 혈액은 스며들지 않고 흘러내린다. 현대에는 유전자검사(DNA검사)로 약간의 조직만 남아있어도 틀림없는 감정을 시행한다.9.남자가 지나치게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터미네이터가 등장하지 않았다면 존 코너는 인류의 지도자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1편과
매
우 흡사한 구조다.만일 타임머신을 통해 역사를 바꿀 수 있다면 단순한 탐사 여행만으로도 우리의 역사는 엄청나게 바뀔 수 있다. 뉴욕의 나비가 날갯짓을 하면 북경에 폭풍이 몰아친다는 카오스이론에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움직였다 적출(摘出)한 기관이나 조직을 장시간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매
액(媒液)으로 사용되는 염류의 혼합용액 그 동물의 혈청 등 체액과 비슷한 이온조성 · 삼투압 · pH를 가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생물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물질의 성질 등을 조사하는 기계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관한 선구적인 연구를 했다테일러의 저서에 있는 것은 x=0인 경우에 해당하고, 오늘날「
매
클론린의 정리」라고 일컬어진다테일러급수라는 이름은 1755년 L 오일러가 붙인 것 이며, 그 중요성이 인식된 것도 후세에 와서이다1623~1662 프랑스의 수학자 · 물리학자 · 철학자 16세에 원추곡선에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한편 모기처럼 빛이 있는 곳에 먹이가 있다는 것을 감지하고 모여드는 곤충도 있다.
매
미 등 주행성 곤충의 경우에는 빛을 보고 낮으로 착각해 모여들기도 한다. Tip!전등을 고정시키고 그 앞에 흰색 천을 씌운 후천 주변에 모인 곤충들을 관찰해보자. 잠자리가모기 등의 작은 곤충을 먹어치우는 ... ...
제16회 국제물리공동탐구토론대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IYPT는 예선 5라운드와 예선 결과 종합순위 3위 이상만 겨루는 본선으로 나눠 진행된다.
매
라운드마다 서로 다른 팀과 조가 짜여져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인다. 예선 1라운드에서 한국팀은 스웨덴1팀, 헝가리팀, 벨라루스팀과 만났는데, ‘열기관’ 문제를 발표하고 활발한 토론을 벌렸다 ... ...
형제자
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야생에서 서식하는 멧돼지나 붉은여우, 날카로운 부리를 갖고 있는 황새, 독수리,
매
와 같은 육식성 조류에서도 이런 행동이 이따금 관찰된 바 있다.다른 부모에게 죽음을 당하는 새끼들도 있다. 사자나 랑구어원숭이와 같이 일부다처제인 집단에는 그 집단을 다스리는 우두머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달고 있는 것과 달리 식물은 나비나 벌을 유혹하기 위해 몸뚱어리의 제일 꼭대기에 대롱
매
달아놨다. 동물의 난소에 해당하는 암술을 가운데 놓고 그 둘레에 정소인 수술들이 싸고 있다.그런데 여기에서 우리가 잘못 생각하기 쉬운 것이 있다. 대부분의 식물은 제꽃가루받이(자가수분)를 하지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만들었고 그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1954년부터 치올코프스키상을 제정해
매
3년마다 우주비행에 지대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이 상을 수여하고 있다. 미국의 칼 세이건 박사 또한 이 상을 받은 바 있다.최근 이온로켓 아이디어 실현돼오늘날의 관점에서도 치올코프스키의 구상은 놀라운 것이었다.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