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쪽"(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 탄생의 순간과학동아 l1995년 07호
- 걸리는 시간) 후에 촬영한 것이다. 테는 10% 가량 밝아졌고 위성레아는 토성 바로 동쪽에서 토성 남반구에 그림자를 떨어뜨리고 있다. 한편 타원 모양의 구조는 토성의 자전으로 인해 서쪽으로 움직였으며 가느다랗게 보이는 선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것은 지난 1990년 토성 대기에 나타났던 폭풍이 ... ...
- 독수리 주변의 5형제 별자리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방패자리. 4등성보다 밝은 별이 하나도 없는 애처로운 별자리다. 방패는 뱀주인의 동쪽에, 남북방향으로는 독수리와 궁수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원래 이름은 '소비에스키의 방패'이다. 존 소비에스키는 폴란드의 왕이었으며 그를 존경한 천문학자 헤벨리우스가 붙인 이름이라고 전한다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여행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은하수Pentax Me super, 28-80(f/4), EM-200 자동가이드, Fuji Provia 400, 10분 노출여름의 새벽이 되면 동쪽 하늘에 카시오페이아자리가 등장하고, 여름철의 삼각형을 지난 은하수가 그곳까지 멋지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카시오페이아자리 위쪽으로 페르세우스자리 이중성단이 보인다.④ 월령 1 ...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과학동아 l1995년 04호
- 하고 있는 가짜 남십자성이 하나 더 있기 때문이다. 진짜 남십자성은 에타카리나 성운의 동쪽에 있고, 가짜는 서쪽에 있다. 크기도 가짜가 진짜보다 약간 더 크다. 물론 밝기는 진짜가 더 밝지만 처음 보는 사람들은 쉽게 혼동한다.① 남천 일주1995. 1.31 사이딩스프링천문대 니콘 FM2 28㎜(f 4), 필름 ... ...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뜨기 30분 전, 금성과 토성이 불과 1˚의 각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쌍안경을 가지고 동쪽하늘을 잘 살펴보자. 물론 밝은 별이 금성이다.14일 수성의 내합.15일 부분 월식. 이번 월식은 최대식분이 0.117. 우리가 보는 달 면적의 11.7%가 지구 그림자 속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개기월식 때처럼 달이 붉게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3호
- 교내 vixen ED 130㎜, Pentax ME super, 필름 velvia 50, EM 200 1/120초보름달은 해가 지고 난 후 동쪽 하늘에 보이기 시작하며 자정 무렵 남중한다. 그 시간쯤이면 고도도 높아지고 빛줄기를 가진 멋진 크레이터들을 볼 수 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티코와 코페르니쿠스다. 검게 보이는 부분은 고도가 낮아서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과학동아 l1995년 03호
- 퍼져 나가게 된다. 이때 동태평양의 용승류는 거의 소멸되고 바다 속 깊이 위치하면서 동쪽으로 흐르는 심층류도 그 방향을 바꾸어 서쪽으로 흐르게 된다.동태평양 해수온도의 상승에 따라 이 지역의 대기층에서도 침강 현상이 쇠약해진다. 엘니뇨의 발생은 서태평양의 대류 활동 지역을 태평양 ... ...
- 세계 최대 두루미의 낙원 이즈미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역시 쓰치야 선생이 먼저 발견했다.홍머리오리와 함께 바람결에 몸을 맡긴 채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다 반대방향으로 다시 이동했다. 빵 부스러기가 있으면 좀더 가까이서 촬영할 수 있으나 인근에서 빵을 구할 수 없었다. 원교수는 50년대 우연히 한번 발견한 뒤 하도 오랜만에 본 탓인지 흥분을 ... ...
- 화석생물-신비의 삶과학동아 l1995년 02호
- 현재 4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공교롭게도 모두 아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쪽 해안을 따라 분포하고 있는 점에서 이채롭다.투구게의 조상은 지금으로부터 4억5천만년 전인 오르도비스기의 지층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후 고생대 기간 중 다양하게 번성했던 투구게의 조상 생물 중 어떤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2호
- 보인다. 2백㎜이상의 망원경으로는 중심 부근의 얼룩을 관측할 수 있다. ③ 새벽의 동쪽 하늘1995.1.6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 Pentax ME super 50㎜(f1.4), 필름provia 100, 고정촬영 30초1월의 새벽은 그 어느 때보다도 별의 아름다움이 돋보였던 시기였다. 해와 달을 제외한 천체 중 가장 밝은 금성과 목성이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