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최근 들어 더욱 빠른 속도로 똑똑해지고 있는 이유는 딥러닝 덕분이야. 그래서인지 딥러닝을 공부하고 싶다는 친구들이 점점 늘고 있지. 그렇다면 딥러닝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공부를 해야 할까? 전문가에게 들어보자! 딥러닝을 사용하면 전문 연기자 같은 AI를 만들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과학동아가 있었다.물리나 공학보다는 생물학과 식물, 동물 관련 기사를 즐겨 읽었다. 덕분에 학창시절 생물 성적이 가장 좋았다. 과학동아에서 세포사멸(apoptosis)과 괴사(necrosis)의 차이를 알려주는 기사를 즐겨 읽던 중학생에게, 주관식 문제 정답이 ‘미토콘드리아’ 수준이던 학교 생물 시험은 ... ...
- [디지털리터러시] 스마트폰의 조상님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보통 무엇을 하나요? 우리는 스마트폰으로 통화나 게임 외에 많은 것을 할 수 있어요. 덕분에 생활은 편리해졌지요. 이같은 스마트폰은 언제, 누가 최초로 만들었을까요?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은 1993년 IBM에서 만든 ‘사이먼(Simon)’입니다. 이 스마트폰에는 7cm가 조금 넘는 크기의 터치스크린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풀어주거나, 다른 사람들이 낸 문제를 해결해 스티커를 받으면 정말 뿌듯합니다. 그 덕분에 오랫동안 활동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Q 폴리매스 활동이 어떤 도움이 됐나요?전에는 문제를 풀기만 했었는데, 문제를 내다보니 출제자의 관점에서 수학 문제를 바라볼 수 있게 됐어요. 다른 사람들이 쓴 ... ...
- 탄소배출의 주범이라고? 공장이 변하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목화솜으로 만든 옷 10벌을 대체할 수 있다. 자동차의 차체 일부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한 덕분에 자동차의 무게가 줄어 더 적은 연료로 오랜 시간 운행할 수 있다. 만약 플라스틱이 세상에 없다면 천연자원은 빠르게 고갈되고 무거운 자동차는 더 많은 연료를 필요로할 것이다.현재 산업계는 과도한 ... ...
- [질문하면 답해줌!]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손난로인 핫팩을 흔들기만 하면 열이 나 손을 따뜻하게 해 줘요. 이는 철의 산화반응 덕분이에요. 철은 산소와 만나면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산화철로 변하고, 이 과정에서 열이 나요. 일상 생활에서 철 제품이 녹스는 것도 산화반응이지요. 열이 발생하지만 워낙 오랜 시간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에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보는 면적만큼으로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다섯 번째 탐사는 여름에 이뤄진 덕분에 겨울철 탐사보다 수월했다. 아무렴 영하 25°C보다는 0°C에서 측정 장비가 잘 작동했다. 또 겨울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장갑을 벗는 일은 여간 고통스러운 게 아니었다. 가을이 시작되던 9월, 우리는 북극을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플라스마 상태가 됩니다. 플라스마가 신기하다고 손대면 안 됩니다. 고전압의 전류 덕분에 파짓파짓 피카츄가 돼 버릴 수 있습니다. 또 오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동한 뒤에는 30분 이상 환기해야 합니다.기본적인 장치는 다 마련됐습니다. 열정 가득 키쿠 님은 좀 더 멋 난 장치를 만들어 보고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습성을 배우지 못했거나 잃었다. 클라라와 데이비드는 성별이 다르고 같은 해에 태어난 덕분에 짝이 될 수 있었다. 너구리는 생에 한 번 짝을 지으며 둘은 지금도 금실 좋게 지내고 있다. 두 너구리의 재활과 복지를 위해 데이비드가 중성화 수술을 받아 새끼 너구리는 태어날 수 없다. 짬이와 ...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혼용했습니다. π라는 문자가 확고하게 자리잡은 것은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736년 오일러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식’으로 평가 받는 오일러 항등식(eiπ+1=0)을 발표하면서 π를 넣었고, 이를 통해 π가 학계에서 널리 쓰이게 됐습니다.원주율을 소수점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