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난"(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의미를 갖게 됐지요. 이런 의미는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 지방에서 따뜻한 난류가 만들어지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답니다. 두 번째 글자 ‘흐를 류(流)’에는 물의 흐름이라는 뜻이 담겨 있어요. 앞부분의 ‘물(水)’과, 물이 흐르는 모습을 본뜬 뒷부분의 ‘류(㐬)’가 합쳐져 물이 흐르는 ... ...
-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이제 내가 만든 냉동 캡슐이 왜 망가졌는지 알았어. 필요한 기술도 충분히 배웠으니 난 곧 다시 냉동 캡슐에 들어갈 거야! 그리고 꼭 최초의 냉동 당나귀가 되고 말 거라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Part 2. [도전 ➊] ... ...
- 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안녕? 난 바다의 포식자, 청상아리야. 오랜만에 넓은 바다로 먹이사냥을 나왔지. 후후! 저 앞에 있는 물고기를 꿀꺽 삼켜 볼까~? 아얏! 내 이빨을 깨고 나오다니! 번쩍이는 눈에 매끄러운 몸, 자세히 보니 넌 물고기가 아니잖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Part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더 이상 냉각할 수 없었고, 그 결과 열을 견디지 못한 원전이 녹아내린 거예요.사고가 난 뒤, 원자로 격납고 내부는 몇 초 안에 사람이 죽을 정도의 높은 방사능 수치를 나타내기 시작했어요. 이에 일본 과학자들은 사람을 대신해 원전에 들어갈 로봇을 개발하기 시작했지요. 후쿠시마 원전 내부를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안녕? 난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숲으로 소풍을 갔다가 신기한 동물을 발견했어! 한 발로 막대기를 들고, 빈 나뭇가지를 때리며 북을 치는 것처럼 음악을 연주하는 동물이었지~. 신나는 음악에 나도 모르게 어깨춤을 덩실덩실 췄어. 그런데 이 새는 왜 북을 치는 걸까? 그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주장이 나왔어요. 과연 검룡류 공룡은 왜 커다란 골판을 가지고 있었을까요?등에 뿔 난 스테고사우루스!검룡류는 등에 골판이 있고, 꼬리에 날카로운 골침이 있는 초식공룡을 말해요.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공룡은 스테고사우루스지요.스테고사우루스는 중생대 쥐라기 후기(1억 5000만 년 전~ ... ...
- 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고향이 남극인 난 벌써 더워서 숨이 막힐 것 같아. 그래서 더위를 피해 수영장에 놀러왔지. 물로 깨끗이 씻은 뒤 수영복과 수영모자, 수영 안경까지 쓰고 드디어 수영장으로 입장!워터슬라이드를 타고 수영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순간, ‘삑-!’ 안전 요원이 호루라기를 크게 부는 거야. 수영장을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역동적으로 해결했다. 2명에서 시작한 놀이는 3명, 4명, …, 15명으로 인원을 늘려가며 난이도를 높여 계속됐다. 학생들은 마치 춤을 추듯이 돌기도 하고 팔 밑으로 기어가기도 하며 문제를 해결했고, 입에는 웃음꽃이 폈다. 두 번째 놀이는 ‘막대 게임’이었다. 최소 4명 이상을 한 조로 해야 재미를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의 먹이인 크릴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들 해. 현재와 같은 속도로 지구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2100년쯤에는 우리 친척인 황제펭귄의 95%가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하더라고. 무서운 일이야. 급격한 기상 변화는 우리 번식지에 재앙을 가져올 수도 있어. 우리가 카메라로 찍어 준 사진과 영상이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하나의 새로운 종이, 더욱 다양한 종이, 지극히 경이로운 무한한 형태가 불길 속에서 피어난다. 곤충학자들은 이 세계에 수백만 종의 곤충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정신을 차려 보니 정 박사의 목소리가 아득하게 들렸다. 통화하다 말고 왜 가만히 있냐면서 뭐라고 하기에, 요즘 좀 피곤해서 그렇다고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