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한국 인공태양, 1억℃에서 20초 빛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이상의 플라스마가 오랫동안 유지돼야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지만, 그동안 일본의 최장 기록은 5초, 유럽은 7초로 대부분의 나라가 10초를 넘지 못했어요. KSTAR는 초전도 자석의 자기장으로 플라스마를 진공 공간에 가두는 ‘토카막’ 장치를 이용해요. 이번에 고온의 플라스마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 ...
- [출동!기자단] Canon과 함께하는 초근접 생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생태 사진을 낯설게 찍어 보자!“생태 사진이란 동물이나 식물이 살아가는 모습을 기록하는 사진이에요. 가까이 다가가서 생명의 모습을 자세히 담아야 하죠. 이 ‘접사 렌즈(매크로 렌즈)’를 사용하면 아주 작은 식물도 화면을 가득 채워서 찍을 수 있어요. 접사 렌즈란 접사 촬영을 위해 만들어진 ... ...
- [과학뉴스] 비행기보다 빠른 기차, 하이퍼루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만들어진 시험 장치를 모의실험 했어요. 그 결과, 시험 장치는 시속 1019km의 최고 속도를 기록했지요. 이는 하이퍼루프 시험 장치가 시속 1000km를 돌파한 첫 사례예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이번 시험으로 하이퍼튜브가 비행기보다 빠르게 주행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밝혔지요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기록만 해도 총 1만 4594건이나 되지요. 정확한 분석을 위해 국립수목원에서는 모든 탐사기록을 살펴보고 사진 속 식물이 어떤 종인지 동정*하고 있어요.그리고 최근 중간 결과로, 4년간 탐사 대원들이 가장 많이 만난 귀화식물을 추렸습니다. 가장 많은 종은 개망초였고, 서양민들레와 토끼풀, ... ...
- [2020 어과동 어워드] 지사탐 특별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시기별로 특정 생물종을 찾는 데이와 미션이 있어서 좋았고, 다른 팀들과 탐사 기록을 함께 공유하면서 댓글과 추천을 주고 받는 것도 재미 있었어요. 특히 모르는 것이 있을 때 댓글로 알려주신 대원들과 연구원님, 매니저님 감사해요. 우리나라 남쪽 끝, 땅끝마을 해남에서도 더 아래쪽에 큰 섬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100년을 기다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만들었어요. 이후 2019년, 드로즈도브 박사팀은 란타넘과 수소를 이용해서 영하 23℃로 이 기록을 경신했죠. 그리고 올해, 다이어스 교수팀이 드디어 영상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발견한 거예요! ... ...
- [만화뉴스] 빛 입자가 수소의 전자를 스치는 순간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동시에 충돌하는지 알고자 한 거예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원자나 분자의 초고속 반응을 기록할 수 있는 ‘콜트림스(COLTRIMS) 반응 현미경’을 이용했어요. 이 현미경으로 전자와 광자가 충돌할 때 만들어지는 무늬인 간섭 패턴을 관찰했지요. 연구팀은 간섭 패턴과 수소 분자의 위치 등 콜트림스 ... ...
- 독감 백신 주사, 맞아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은 10월 26일까지 신고된 사망자 48명을 대상으로 부검과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접종 부위에 염증이 있었는지, 열이 심하게 났는지, 이전에 앓던 질병이 있었는지 등을 다각도로 살펴봤어요. 그 결과 백신 접종과 관련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직접적인 사망 원인은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킁킁거리며 주변을 탐색했어요. 그러자 링크가 거투르드의 뇌파를 잡아내 컴퓨터에 기록했고 실시간으로 화면에 신호가 나타났지요. 일론 머스크는 “지금은 뇌파를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수준이지만, 이후에는 신호를 뇌로 보내는 등 쌍방향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어요.이 ...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생활을 알 수 있는 거예요.일주일이 지난 후 연구팀은 바다에서 돌아온 펭귄의 몸에 있는 기록 장치를 떼어냈어요.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펭귄이 얼마나 깊이 잠수하는지, 어느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는지 등에 대해 알기 위해 계속 분석 하고 있답니다. ※필자소개김정호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