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틀에 박힌 장난감은 바이바이! 내 맘대로 발명하는 4D프레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빨대와 눈꽃으로 만든 작품포디수리과학창의연구소에 들어서자마자 천장에 달려 있는 공룡들과 어린이 키만 한 둥근 공, 그리고 여러 개의 날개가 연결돼 있는 풍차가 한눈에 들어 왔어요. 놀랍게도 풍차는 옆에서 바람을 불어주자 날개들이 한꺼번에 돌아가면서 움직였답니다. 이런 원리를 ...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중요한 것은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거야. 제대로 된 연구와 계획 없이 인공구조물을 설치하기 때문에 해수욕장은 물론 우리의 삶의 터전까지 위험해지고 있대. 해수욕장을 더 잃기 전에 지구온난화를 막고, 구조물을 설치하기 전에 해안 환경에 대한 충분한 조사가 이뤄지도록 해야 ... ...
- 우리 동네 축구감독 ‘메시가 혼난대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해 보자. 만약 시속 110km로 공을 찬다고 하면 0.4초면 골대에 공이 들어간다. 골키퍼가 공의 방향을 알아채는 데는 0.1초, 근육이 반응하는 시간이 0.1초, 골대 끝까지 몸을 던지는데 0.73초가 걸린다.결국 수학적으로는 막을 수 없다는 얘기다. 그럼 어떻게? 연습이다~!”홈즈야~, 또 축구하자~!밤 11시,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바로 소행성 채굴이다. 2005년이토가와 소행성에서 세계 최초로 미립자를 반입하는 데 성공한 일본은 11월 30일 두 번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를 발사할 계획이다. 하야부사2는 ‘1999JU3’ 소행성에서 시료를 채취해 2020년 귀환할 예정이다. 영화에서나 보던 우주 자원전쟁이 본격적으로 막이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국가가 문화재를 관리하듯, 운석이 발견됐을 때 제대로 보존하기 위해서 국가 공인 장치를 만든 거예요.하지만 운석에 대한 이런 관심이 잠깐 ‘반짝’인 것 같아 아쉽습니다. 아직 국내에는 운석에 대한 연구 기반이 없고, 신고센터가 생겼는데 일할 연구자조차 없는 실정이에요. 후학을 키우는 게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하자 민코프스키는 이를 기하학적인 4차원의 시공간 개념으로 봤다. 아인슈타인은 스승의 수학적인 재해석을 전해 듣고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민코프스키의 새로운 해석은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었다. ...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성용의 영향력은 그림 ➋만 못하다.아마랄 교수는 중앙성 분석을 통해 슛으로 연결된 공의 흐름에서 누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발휘했는지를 분석해 각 개인의 역량을 계산했다. 즉 슛으로 연결된 패스 중에서 어떤 게 가장 많이 연결에 가담했는지를 판단한 것이다.네트워크 분석★ 그래프 이론을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Over’라는 종료 메시지가 뜹니다.나에게 맞는 소프트웨어 수업 & 역량 찾기 자료 제공 삼성전자 사회봉사단소프트웨어 교육은 크게 네 가지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가장 첫 번째는 창의력이다. 가장 기초 단계에 해당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를 이용하면 자신의 상상을 코딩으로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볼 수 없었던 뉴런의 새로운 구조를 STED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 최근 성공하기도 했다. 뇌과학의 신비를 풀어나가는 것도 이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다. 초분해능 형광현미경은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는 말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최첨단 과학 기술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당연하다. 다만 들뜬 전자의 이동 과정이 지나치게 효율적이라는 것이 의문이다.전자를 공이라고 생각해보자. 중심이 어딘지 알 길 없으니 전자는 여기저기 마구잡이로 부딪히며 이동하고 당연히 에너지를 잃게 된다. 하지만 실제 에너지 효율은 예상보다 훨씬 높다. 왜 그럴까? 플래밍 교수는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