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세대 해양탐구 프로젝트 I 부산, 청년과 바다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바다는 육지보다 한 계절씩 늦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새로운 직업부터 지구와 공생
가능
한 방법까지점심을 먹고 내려간 창의융합교육원 지하 해양과학전시실에는 다양한 체험시설들이 마련돼 있었습니다. 지역별 바다 표층 수온을 느낄 수 있는 기계에 손바닥을 대보니 극지방 수온과 적도 지역 ... ...
[가상 인터뷰] “저 좀 태워 주세요.” 아무 데나 붙어서 이동
가능
한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프로펠러를 펼치며 나와 바로 비행할 수 있었어요. 다시 물속에 바로 잠수하는 것도
가능
했고요. 이 드론을 어디에 유용하게 쓸 수 있을까?웬 교수는 “드론을 활용하여 야생 동물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조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예를 들어 하늘 높이 날아 돌고래가 사는 곳을 찾아낸 뒤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세웠는데, 그는 공 13개로 13세트 연속 저글링을 했어요. 정말 대단하죠? 인간 탑이
가능
한 이유는? 공연 중반부에 이르면 음악이 고조되면서 인간 탑이 쌓아져요. 십자로 교차된 긴 나무 봉을 네 사람이 쥐고, 봉 위에 두 사람이 2층으로 된 인간 탑을 쌓아요. 그 꼭대기에 곡예사가 올라가 무려 한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서로 호흡을 맞춰본 후 만들어진 회사가 시프트 바이오다. 오랜 신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
한 창업이다. 앞으로 엑소좀 분야에서 세 손가락에 드는 회사를 만들고 싶다는 남기훈 CSO 는 “수백만 명에게 두 번째 기회를 주는 것이 신약개발의 의미”라 밝혔다. 현장에서 직접 환자를 진찰하는 임상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1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 분의 1m) 정도밖에 되지 않는 공간에서 그런 정교한 작업이
가능
한지 궁금하지 않으세요?”김유리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는 초롱초롱 빛나는 눈으로 연구 분야를 소개했다. 9월 27일, 분자후성유전학 연구실에서 유전체 구조 및 항상성 연구를 하는 김 교수를 ... ...
[특집] 네모난 브릭으로 원 만들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문제없어! 내가 모눈종이로 보여주지.” 같은 모양이라도 더 크게 만들면 섬세한 표현이
가능
해요. 크기를 키우는 건 사용하는 브릭의 개수를 늘리는 것과 같아요. 브릭의 크기를 줄일 수는 없기 때문에 원에 가까운 모양을 만들려면 더 많은 수의 브릭을 사용하면 돼요. 오른쪽 그림을 보면 같은 ... ...
[특집] 얼마나 아니? 비눗방울 퀴즈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아이디어를 더욱 확장해 이번 연구 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에 세계적인 학술지에 실릴
가능
성이 높다”고 설명했어요. 두 수학자는 1996년 존 설리번 독일 베를린공과대학교 교수가 제시한 방법으로 비눗방울 문제를 풀었다고 해요. 그 방법을 다음 쪽에서 자세히 알려줄게요 ... ...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발전되면 뇌파로 사람의 감정을 정확히 읽어 감정에 기반한 음악을 만드는 것이 충분히
가능
할 것 같아요. Q. 두 분이 생각하기에 뇌파 연구의 매력이 뭔가요? 이용범 : 저희가 한번은 첼리스트에게 뇌파 측정 기계를 씌우고 연주를 하면서 나오는 소리와 뇌파를 결합해 새로운 소리를 만들었어요.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1장.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수 있다’고만 말할 뿐, 어떤 방식으로 선택해야 하는지 알려주지 않습니다. 이같이
가능
성만 보장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주지 않는 진술을 ‘비구성적’이라고 부릅니다. 실수 집합이 정렬 순서를 가지는지 보이기 위해서는 선택 공리가 반드시 필요한데요. 선택 공리가 비구성적이기 때문에 ... ...
[수학 체험실] 무한 계단을 따라 째깍째깍 흘러가는 시계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계단은 펜로즈 삼각형의 변형인 ‘펜로즈 계단’이다. 이 계단 역시 2차원에서만 구현이
가능
하다.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 계단은 각각 1934년과 1937년 스웨덴 화가 오스카르 레우테르스베르드 작품에 처음 등장하지만,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명예교수와 그의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인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