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실재
실제
진실
실태
실질
d라이브러리
"
현실
"(으)로 총 2,705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빈치 팬클럽 회장 '알 라뷰다 빈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혹시 업새블라가 다빈치의 발명품을 모두 훔쳐갔으면 어떡하죠?”알 회장의 걱정이
현실
이 되었다. 역시 업새블라가 다빈치의 발명품들을 모두 숨겨 놓았다.“알 회장이 다빈치 팬클럽 회장이라며? 그럼 다빈치에 대해 아주 잘~ 알겠구만! 다빈치 발명품의 원리에 대해서도 잘 알겠지? 내가 내는 ... ...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수학동아
l
201108
45°일 때 가장 오랜 시간 동안 하늘에 떠서 멀리까지 날아갈 수 있답니다.이론이 아닌
현실
에서는 상황이 조금 달라요. 물체를 던지는 곳과 떨어지는 곳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이죠. 우리가 물체를 던질 때, 키가 있고 팔을 위로 뻗는 걸 생각하면 바닥보다 2m 정도 높은 곳에서물체를 던지게 마련이죠.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08
자연현상을 모형화한 편미분방정식을 이용해 홍수피해를 예측한다. 하지만
현실
에서는 많은 것을 단순화한 수정 모형을 쓴다. 모든 현장상황을 고려한 원래 모형으로 계산하면 많은 시간이 걸려 강우예보 뒤 짧은 시간 안에 홍수를 예측하거나 실시간으로 예보할 수 없어서다. 이처럼 현장에서는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08
열풍이 새삼스럽다. 20년 전 담수 조류 연구를 시작했을 때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운
현실
이기 때문이다.지난 세기 화석연료를 마음껏 써온 인류는 그 대가로 지구온난화와 환경파괴를 초래했다. 그나마 화석연료도 서서히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21세기 들어 인류는 대체에너지를 찾느라 고심하고 ... ...
2011 세계보도사진전
과학동아
l
201108
많이 다룬 주제도 다양한 사진이 선정됐다. 수상작들은 인간이 해결하지 못한 숙명적
현실
과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야 할 자세를 진지하게 성찰하게 한다.■기간 7월 28일~8월 28일■장소 서울 서초구 예술의 전당 V갤러리■전시작품 2011 세계보도사진전 입상작 약 170점■입장료 성인 8000원, 학생 ... ...
수학으로 변신한다!
수학동아
l
201108
끝난 뒤에도 여운이 쉬이 가시지 않는 로봇의 세상. 안타깝게도 눈을 씻고 찾아봐도
현실
세계엔 우리를 지켜줄 오토봇도 그들과 치열한 전쟁을 선포한 디셉티콘 군단도 없다. 흠…, 나만의 변신 로봇은 어디에 있는 걸까?3D 영화 구현하는 CG 속 수학영화‘트랜스포머’시리즈가 사람들의 사랑을 듬뿍 ... ...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
수학동아
l
201107
공간에서 만들어지는 도형이니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죠. 영화에선 4차원 초입방체가
현실
세계에서 만들어졌다고 가정하고 진행돼요. 이 영화에는 캐나다 수학자 데이비드 프라비카가 참여했어요. 그는 4차원 초입방체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줬는데, 자신의 캐나다 주민등록번호인 476804539를 큐브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07
정말 우주여행을 갈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우주여행을 향한 인류의 간절한 꿈이 결국
현실
이 된 것이다. 문제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앞으로 우주여행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는지가 우주여행 대중화의 관건이다. 필자는 최근 네덜란드에 있는 청년 2명이 직접 만든 로켓과 우주선으로 우주여행을 떠날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07
않는 불야성의 사회가 된 오늘날,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교대근무를 아예 없애기란
현실
적으로 쉽지 않다. 그렇다면 ‘좀더 인간적인’ 교대근무는 없을까. 우리보다 노동자들의 건강에 대해 연구도 더 많이 돼 있고 보장도 잘 된 북유럽의 사례를 참고해 보자. 우선 쉬는 날을 충분히 확보한다. 이를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07
만다.예를 들어 거대담론주의자들은 숲만 보고 나무는 못 보는 타입이다. 이들은
현실
의 모든 문제를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보려고 한다. 1960년대에 ‘잘 살아보자’는 슬로건을 내걸었던 새마을운동이나 20세기 중반 국내에 불어닥친 민주주의 바람이 대표적인 거대담론에 해당한다. 얼핏 듣기에는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