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602
뒤 나타나는 반응을 일일이 확인해야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병원균의
내
성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만 감지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4500여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에는 99.1%, 결핵균에는 82.6%의 정확도로 적합한 항생제를 3분 만에 찾아냈다. ... ...
[News & Issue] 천연두 백신으로 메르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602
투입한 뒤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3주 뒤 백신을 맞은 낙타는 비점막과 혈액
내
에서 충분한 양의 항체가 생성된 반면, 그렇지 않은 낙타는 콧물에서 메르스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바이러스 전염과 전파의 고리를 끊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 ...
[News & Issue] ‘아이스맨’도 못 피해간 헬리코박터균
과학동아
l
201602
세균이 발견됐다. 이탈리아의 유럽아카데미 미라 및 아이스맨 연구소(EURAC)는 외치의 장
내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사이언스’ 1월 7일자에 발표했다.고고학계에서는 그동안 외치의 사망과 이동경로, 사용했던 도구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발견 당시 부패가 진행돼 있던 탓에, 외치의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02
없었냐’고 묻자 “없었다”고 대답했다. 남학생들이 즐겨하던 ‘팩차기’ 이야기를 꺼
내
자 그는 “나도 같이 했다”고 말했다.단체사진도 그들이 80년대에 촬영했던 빛바랜 사진을 참고해 찍었다. 잔디밭에 누워있던 그때 그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공기정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식당 앞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
과학동아
l
201602
막힌 소나 채소를 만들어
내
는 모습에 주목했다. 축산업자들은 빨간 육질 사이에 서리가
내
린 듯 지방질이 촘촘히 박힌 소 품종을 만들려고 자나깨나 분투한다. 마블링이 잘 된 1++ 등급 쇠고기는 향도 좋고 식감이 부드럽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렇다. 최고 등급의 쇠고기를 얻으려면 반드시 그 소를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
과학동아
l
201602
만든 메주에 숯과 소금물을 넣어 간장을 우려냈어요. 숯은 몸에 좋지 않은 성분을 걸러
내
준답니다. 이런 간장을 전통간장(한식간장)이라고 해요. 일반적으로는 조선시대 들어 이런 간장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고 봅니다. 요즘 제대로 된 한식간장을 맛보려면 직접 간장을 담그거나 특별한 곳에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02
번개의 길이도 잴 수 있겠네요.”“당연하지. 그런데 번개나 구름의 프랙탈과 다르게
내
가 서 있는 이 해안선은 완벽히 같은 비율로 형태가 반복되니까 길이를 계산하는 게 훨씬 쉬워.”“네, 맞아요. 자세히 보니 규칙이 보여요! 어디 한번 문제를 풀어 볼까요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2
높고 부드러워요. 특히 달콤하고 맛있는 나무 열매가 열리지요.하지만 나무에서
내
려와 직립보행을 택한 인류가 다른 영장류처럼 높은 곳의 열매를 따먹기는 어려웠을 거예요. 또 이런 열매는 초식공룡도 좋아할 가능성이 높아요. 결국 공룡이 먹고 남은 열매나 땅에 떨어진 열매가 인류의 몫으로 ... ...
[News & Issue] 핀치새 50년
내
멸종할 수도
과학동아
l
201602
50년
내
멸종할 수도갈라파고스 제도의 핀치새는 진화론의 출발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상징적 존재다. 그런데 이런 핀치새가 빠르면 50년 안에 멸종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미국 유타대 데일 클레이튼 교수팀은 가장 큰 원인을 기생파리 감염으로 지목했다. 기생파리는 새 둥지에 기생유충을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02
먼저 사체에 구멍을
내
줘야 비로소 갑옷바닷가재 같은 작은 생물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
내
장을 먹었다. 연구팀은 이 실험을 통해 수중과학수사에 응용할 부분이 두 가지가 생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먼저 시체에 모인 생물의 종류와 양을 보고 입수시간을 계산할 수있다. 또 바다에 잠겨있는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