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용적
크기
부피
부피가 큼
막대함
거인성
d라이브러리
"
거대함
"(으)로 총 1,131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11
지난 9월 21일 새벽 3시 57분 지구에서 7억km가 넘게 떨어진 우주공간에서는 조용하지만 장엄한 발걸음이 시작되고 있었다. 미항공우주국(NASA)의 무인탐사선 갈릴레오가 초속 50km로 목성의 대기권에 몸을 던지며 14년의 생애를 극적으로 마감했다. 갈릴레오는 46분 후 지구에 마지막 신호를 보낸 후 목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10
2003년 8월 25일 새벽 1시 3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캐나베럴 공군 기지에서 최첨단 적외선우주망원경을 실은 로켓이 발사됐다. 같은 시각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에서 이 장면을 실시간 중계로 지켜보고 있던 1백여명의 우주망원경 관련 과학자들은 성공적인 발사에 모두 환호성을 질렀다. SIRTF로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200310
지난 9월 1일 일본의 세계적 자동차회사 도요타는 하이브리드 엔진을 장착한 신차‘프리어스’(Prius)를 선보였다. 하이브리드 엔진은 주행상태에 따라 전기와 휘발유를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연료 효율이 높다. 더욱이 이 자동차는 스스로 주차하는 놀라운 편의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생물체에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0
변대규끼“황당한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디지털 셋톱박스 소매시장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주)휴맥스의 변대규 대표이사는 자신의 무기를 ‘황당하리만큼 무모한 도전정신’이라고 말한다.변 사장은 박사 학위를 받고 학교 앞 포장마차에서 동료, 후배들과 벤처 창업을 결의했다. 하숙생 신 ... ...
소만한 크기의 쥐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310
버팔로 크기 만한 거대한 설치류 화석이 베네수엘라에서 발견됐다. 독일 튀빙겐대의 마르셀로 산체스-빌라그라 박사팀은 베네수엘라의 카라카스 서쪽으로 4백km 떨어진 우르마코 늪지대에서 거대한 설치류 화석을 거의 원형 그대로 발견했다고 ‘사이언스’ 9월 19일자에 발표했다.연구자들에 의하 ... ...
초고층 아파트를 지탱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0310
모든 생물이 그러하듯 인간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 인구가 증가하면서 건물이 계속 지어져 도시가 팽창한 이유다. 그러나 한정된 지표면 때문에 이제는 지상의 영역을 넘어 지하공간, 해저도시, 그리고 우주정거장의 실현까지 고려하는 단계에 이르렀다.인구의 급증으로 인 ... ...
어린 블랙홀 수 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309
은하의 중심부에 존재하면서 뜨거운 가스를 삼키는 어린 블랙홀이 10억년 전보다 현재 훨씬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닐 블랜트 박사팀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찬드라 X-선 관측위성을 이용해 블랙홀을 관찰한 후 그 결과를 천문우주분야 전문지 ‘아스트로노미컬 저널’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09
1999년 11월. 제법 추운 날씨 속에서 두명의 지리학자가 비슬산에 도착했다. 대구대 지리교육과 손명원 교수와 필자. 작은 다리를 건너 비슬산의 첫 관문인 소재사를 지나 자연휴양림 매표소를 통과했다.잠시 후 필자의 눈앞에는 장엄한 광경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졌다. 마치 큰 강물이 서서히 흘러내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09
‘고양이 먹으면 아기 등에 털난다’라는 옛말이 있다. 물론 현대인 중에는 산모가 정말 고양이를 먹었다고 해서 아기 등에 털이 날 것이라고 믿는 사람은 없다. 그저 임신중에는 먹을 것을 조심하라는 조상들의 지혜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최근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09
중국집 주방장이 면을 뽑는 과정을 지켜보면 감탄사가 절로 튀어나온다. 이 분야의 달인은 머리카락보다 가는 면발을 만들어 바늘귀에 꿰기도 한다. 머리카락의 두께가 고작 8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정도니 주방장들은 이미 수천년 전에 마이크로시대를 열었다면 지나친 비약일까.본격적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