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스페셜
"
가능
"(으)로 총 6,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0.07.06
01. 9 ~ 2006. 2 세계은행 선임환경관, 국장급 교육훈련(중앙공무원교육원) 2006. 3 ~ 2007. 3 지속
가능
발전위원회 국정과제국장 2007. 3 ~ 2008. 3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원장 2008. 3 ~ 2009. 9 상하수도정책관 2009. 9 ~ 현재 국립생물자원관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10.05.25
흐름을 이루는 레저 문화를 말한다. 에코투어를 통해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친환경, 지속
가능
한 자원 개발 등을 알 수 있다. 산림 등의 자연 환경 속에서 머물면서 심신의 질병을 치유하는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에코 투어는 또한 인근 지역 관광 산업에도 기여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 ...
“신약 개발, 미국의 위기가 한국의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0.05.20
중간체를 수입하면 기술 유출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신약을 만들 때 기술이 유출될
가능
성이 높은 단계는 컴파운드를 만들 때다. 그런데 중간체는 그 자체만으로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전혀 예측할 수 없다. 그래서 중간체의 모양을 중국에 알려줘도 기술 유출의 우려가 없다. 고 CTO는 “정말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이뤄지는 것이다. 미국은 보안을 누설하지 않는다는 계약이 잘 지켜지기 때문에
가능
하다. ▽박영훈=한국도 보안 관련 계약을 잘 지킨다. 서로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배경이 잘 조성되고 있다. 문제는 ‘어떤 전문가가 도움이 되는가’이다. 한국 실정을 모르고 자국 상황만을 토대로 진단해주는 ... ...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점,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0.04.28
처음이다. 개인투자자를 위해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었다.
가능
하면 기업 이름을 ‘딱 찍어’ 달라고 부탁했다. “공식적으로 보고서를 내지 않은 기업의 이름을 언론에 언급하면 안 됩니다. 대신 유망한 기업의 특징을 알려드리죠. 저희가 주목하고 있는 기업은 바뀌고 ... ...
“실패한 연구, 발상 바꿨더니 럭키 드러그”
동아사이언스
l
2010.04.13
김 사장은 내다봤다. ● 학계 및 연구계도 과거의 관점 버리고 큰 틀로 접근해야 생존
가능
“비단 학교 뿐 아닙니다. 바이와 관련 학회와 국책 및 민간 연구소 등도 글로벌 기준에 맞게 변화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김 사장은 현재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의 70%가 제약에서 나오지만 미래에는 비제약 ... ...
“국가 R&D 효율 높이기… 정책연구시스템부터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05
연구 성과를 내기 보다는 협업해 연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집단 창의성 향상은 지속
가능
한 생산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R&D 주도권을 각 대학이나 연구기관장에게 이전해 이들이 협력하도록 하면 더 나은 연구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종의 ‘작은 ... ...
“신약 1g 가격 순금의 6만배”
동아사이언스
l
2010.03.23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바로 신약인 셈이다. 국내 상황은 이제 걸음마 단계다. 다만
가능
성은 확인했다. 국내에서 신약 개발을 시작한 건 1989년. 화학적 방법으로 만들어진 물질을 대상으로 한 ‘물질특허’가 도입되면서부터다. 20여 년 간 개발한 신약은 총 16개다. 그 중에서 LG생명과학이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식품안전은 물론 겉보기에 인공적인 요소가 들어가면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경우가 많아
가능
한 자연 그대로의 교배를 시키고 키운다. 무조건 빨리 키우거나 새로운 형질을 만드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미다. 임 원장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전통적인 육종방법이 더 빨리 목적을 달성할 수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2.09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우선 상징적인 성공 사례를 만들기 위해서 성공
가능
성이 높은 분야에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는 방안도 생각해 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KISTEP도 바이오선진화를 위해 일조할 것 이 원장은 KISTEP도 바이오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보조를 맞추겠다고 ... ...
이전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