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움직임이 흐려지는 현상)효과를 내거나 정교한 렌더링(rendering)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사진
을 찍어 보면 어떤 물체가 움직일 경우 약간 흐리게 보이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을 모션 블러라고 한다. 실제로 사람의 눈이 움직이는 물체를 볼 때 이런 방식으로 물체를 인지한다. 그런데 흥미로운 ... ...
3. 전통과 첨단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전시관에는 'The Art Bin' 이라는 하나의 코너만 전시돼 있다. 이 코너는 회화 음악 문학
사진
소설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예술 잡지로, 이 하나 때문이라도 충분히 가볼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다. 약 1백50여개의 다른 예술 사이트와도 링크해 놓았다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Alexander Graham Bell)이다. 최근 광고에서 '역사는 1등만을 기억합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벨의
사진
이 커다랗게 실렸다. 그러나 전화가 발명되기 직전 당시의 전신업계는 전화를 발명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으로 그레이(Elisha Gray)를 꼽았다. 간발의 차로 그레이는 후대의 사람들이 기억하지 못하는 인물이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모든 별들은 지구에서 볼 때 그저 점에 불과하다. 그래서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별
사진
을 본다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다. (
사진
4)의 오른쪽 모습은 일정한 크기를 지닌, 지구에서 본 최초의 별이다.이 별은 오리온자리의 베텔쥬스(Betelgeuse)다. 허블우주망원경이 FOC(Faint Object Camera)를 이용해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과학적 상상력과 재미를 이끌기 위해 여러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많은 부분을 그림이나
사진
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인 특징이다.일상소재로부터 출발공통과학 교과서들은 어려운 산성비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 소재로부터 출발한다. 오렌지주스, 자동차의 배터리, 개미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 별들을
사진
으로 찍어 두었다가 약 6개월 뒤 그 별들이 다시 밤하늘에 나타날 때 찍은
사진
과 비교하는 것이다. 만약 일반상대성이론이 맞다면 태양으로부터 가까운 별들의 위치가 달라져야 하고, 태양으로부터 멀리 있는 별일수록 그 위치이동이 점점 더 작아져야 한다. 에딩턴의 관측은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시간이 더 걸린다. 예를 들어 나방
사진
을 보고 'moth'(나방)라고 말하려면 입 모양의
사진
을 보고 'mouth'(입)라고 말할 때보다 1백분의 2초가 더 걸린다.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흔히 쓰지 않는 이름을 떠올리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반면 '베이커'(Baker) 같이 흔한 이름은 머리 속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신문기자가 찍은
사진
에 UFO로 추정되는 물체가 포착됐다. 특히나 ‘로스웰 사건’ 당시에 추락한 비행접시에서 발견된 외계인의 사체 부검 현장을 기록한 흑백 필름의 방영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영국에서는 ‘로스웰’(Roswell)이라는 영화까지 만들어졌을 만큼 UFO는 화제가 됐다.영화 ‘로스웰’ ... ...
3. 마음으로 찍는
사진
염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염사현상이 일어났다고 보고하는 예가 꽤 많이 늘어났다. 또한 일반인들도 우연히 찍은
사진
에서 염사현상을 종종 발견하곤 한다.물체 내부를 훤히 들여다보는 투시투시의 영문표기 clairvoyance에서 접두사 clair은 '깨끗한' (clear)을 뜻하는 프랑스어다. 일반적으로 육안을 사용하지 않고 보는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백색의 남극은 더이상 미지의 땅이 아니다. 1820년 인류앞에 첫모습을 드러낸 남극은 그 이후 모험적인 탐험가들과 호기심어린 과학자들로부터 끊임없는 도전을 받 ... 빙붕이 깨져서 생긴 것을 말한다. 빙해는 바다가 언 것으로 두께가 1-2m로 비교적 얇다.
사진
은 빙하가 흘러내리는 모습 ... ...
이전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