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3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방에 사물인터넷 도입… 동물전염병 대응 체계 마련
동아일보
l
2015.07.13
위한 자동선별 기술 개발 등도 30개 과제에 포함됐다.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성과물로는 ‘
전자
태그(RFID) 기반 마약류 의약품 통합관리시스템’이 있다. 마약류 의약품에 RFID를 부착해 제조부터 유통, 사용 등 전 단계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병원·환자별 마약류 의약품 과다 처방, 오남용 현황 ... ...
검은 흙이 5분 만에 하얀 흙으로
2015.07.13
발생한다. 이 열로 흙에 흡착된 기름을 증발시켜 날려버리는 방식이다. 고 연구원은 “
전자
레인지에서 음식을 데울 때와 동일한 원리”라고 설명했다. 현재도 고온의 열을 이용해 오염된 흙의 기름때를 벗겨내는 기술은 있었다. 이때는 버너에 불을 붙여 가열하는 방식을 썼다. 이 방법은 효과도 ... ...
5세대 통신기술에 필요하다는 ‘밀리미터파’의 모든 것
2015.07.12
체결하고, 공동으로 미래 5G 통신기술 시장을 장악하자는 의지의 표현이다. 삼성
전자
와 LG유플러스도 5G 시대에 공동 대응키로 하고 기술 표준 관련 기술개발에서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2014년 말 기준으로 전 세계 모바일 서비스 가입자는 약 ... ...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수명 연장 성공
2015.07.09
태양전지는 효율이 20%까지 나오는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전자
전달체와 전공수송층의 위치를 맞바꾼 전지다.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휘고 접히도록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지의 일부를 강산성 고분자 소재(PEDOT:PSS)로 제작하기 때문에 이 소재가 ... ...
빛으로 신호 주고 받는 ‘광통신 컴퓨터’ 나온다
2015.07.08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 연구원들이 실리콘 포토닉스 칩을 관찰하고 있다. -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 제공 컴퓨터 내부에서 전기가 아닌 빛을 이용해 신호를 주고받는 기술을 국 ... 실리콘 단일칩 광송수신기 프로토 타입. 광케이블을 이용해 통신을 하고 있다. -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 제공 ... ...
전기 잘 통하는 ‘나노시트’ 얼음으로 만들었다
2015.07.07
9000원에 불과해 수백 만 원 이상이 들어가는 그래핀보다 경제적이다. 박 교수는 “삼성
전자
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기술로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당장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 ...
美 스탠퍼드大 한국인 과학자들, 차세대 이차전지 활로 찾았다
2015.07.07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했다. 여러 개의 나노 기둥(나노 필라)으로 만들어 시뮬레이션과
전자
현미경을 활용해 관찰한 결과, 서로 배열된 나노 기둥간 상호작용이 발생하면서 충·방전 시 깨지지 않는 현상이 발견됐다. 나노 기둥이 혼자 존재할 때는 팽창이 결정 방향으로 일어나면서 깨지는 현상이 ... ...
커피전문점 들어서면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충전
2015.07.07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지난달 ‘국제전기
전자
공학회 전력
전자
저널(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에 게재했으며, KAIST 입주기업인 ‘테슬라스’에 이전해 상용화 할 예정이다 ... ...
“한국토종 대회 ‘로봇 축구’, 벌써 스무살 됐네요”
2015.07.06
지키고 있는 로봇축구, 그 중심에 있는 세계로봇축구협회(FIRA)의 회장인 김종환 KAIST
전자
전산학과 교수를 1일 KAIST에서 만났다. FIRA는 1996년 김 교수를 중심으로 출범했다. 김 교수는 로봇축구를 처음 창안한 인물. 그는 ‘로봇축구를 어떻게 만들게 됐느냐’는 질문에 느닷없이 “그 당시 우리나라 ... ...
번개 모양은 전하가 퍼지는 최적의 경로
수학동아
l
2015.07.03
쉽다. 번개는 양전하와 음전하가 섞여 있는 공중에서 공기 저항이 가장 적은 방향으로
전자
를 흘려보낸다. 하천은 물길이 최소로 돌아가도록 땅에 새 물길을 낸다. 나무뿌리도 물과 양분을 빨아들이기 위해 단단한 땅속으로 잔뿌리를 낸다. 모두 무언가를 효율적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길을 ... ...
이전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