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옴개구리 등이 살고 있어요. 무당개구리와 청개구리를 제외하고는 숲의 맑고 깨끗
한
자연에서나 찾아볼 수 있게 된 개구리들이지요. ‘지구사랑탐사대’에서 찾는 수원청개구리처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개구리나 양서류도 많고요. 북방산개구리 역시 과거에는 사람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 ...
[수학뉴스] 중학 수학만 잘했어도! 물거품이 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사칙연산만 잘하면 됐지. 도형 따위 배워서 어디에 써먹는다고?”중학 수학의 도형 단원을 배우면서 이런 생각을 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하찮게 생각했던 도형 문 ... 당황할 수밖에 없지요. 이때 어떻게 대처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이 같은 문제를 출제
한
다고 합니다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합니다. 예를 들면 “김 아무개는 주제를 선정할 때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냈고, 분석
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발표했습니다”처럼 평가합니다. 나머지 평가에 대해선 상, 중, 하로 점수를 매깁니다.당장 2학기 수업부터 도입되는 통계 프로젝트 수업.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어떻게 이뤄질지 벌써부터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그 이유는 좀비에게 발각되는 순간 좀비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여름밤 무더위를 날려줄 뱀파이어와 좀비! 설령 이들이 실제로 존재하더라도 열심히 연구하는 수학자와 과학자가 있으니 걱정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마음 푹 놓고 공포 영화를 즐기자~!▼ 관련기사를 계속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우려했어요. 하지만 학생들은 제가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많은 것을 배웠고, 수학에 대
한
태도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재능 기부 도우미로 활동하기 전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이 제 마음을 설레게 했지요. 그 중 몇 명은 수학과나 수학교육과로 진학해 인생의 큰 목표를 향해 열심히 살고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페이스북이 사람 수준의 정확도로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 ‘딥텍스트(DeepText)’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페이스북 엔지니어인 아매드 압둘캐더 등은 6월 2일 페이스북 ...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발팀은 “스팸처럼 달갑지 않은 콘텐츠는 자동으로 제거
한
다”고 덧붙였다 ... ...
[News & Issue] 초파리 정자는 슈퍼파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전혀 지장이 없어’ 라고 어필하며 성선택을 받기 위해서다. 그 중에서도 초파리의 거대
한
정자는 성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정자왕답다.※매력 지수 계산식 : log(성특성 부위의 크기)/log(몸집). 성특성 부분의 크기가 몸에 비해 얼마나 큰지 종마다 계산했다. 값이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요즘 ‘뇌’가 뜨겁습니다. 알파고 쇼크와 뇌섹남녀 열풍, 그리고 조현병 환자의 범죄 문제가 겹치면서 최근
한
국 사회 이슈의 중심에 뇌가 있 ... 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는 유전자검사를 토대로 자신에게 취약
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
한
식단을 처방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밝혔다.하 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들에 대해 우리 의료계와 정부가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
다”고 강조했다. “생명윤리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보통 외국 사례를 참조하잖아요. 그런데 생존자 이식, 특히 생존자의 간이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뤄져요. 결국 우리가 나서서 주체적으로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연세대 의대 교수가
한
국인 592명의 하플로그룹을 확인
한
결과에 따르면
한
국에서 가장 흔
한
그룹은 D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
이전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