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유와 찰떡궁합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가진 아이들의 지능지수가 높아진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11월 5일자에
발표
했다.지능지수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인지 후천적으로 달라지는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계속돼 왔다. 또한 모유 수유는 후천적으로 지능지수를 높인다고 알려져 왔지만 분명한 근거는 없었다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비슷한 경우가 48% 이상이라는 연구결과를 ‘쌍둥이 연구와 인체유전학저널’ 10월호에
발표
했다. 스펙터 교수는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가 비슷하기 때문에 이들의 식습관이 비슷하다는 것은 식습관이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뜻한다”고 말했다.발걸음을 6만 번 떼야 마라톤 완주가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으며 이 기종과 호환이 가능한 기종을 만드는 업체들도 수백개에 달한다인텔사가 79년
발표
한 마이크로프로세서 8086과 호환성을 가지며 16비트 내부 데이타버스를 가지며 8비트 버스인터페이스로 외부에 연결된다1초동안 전송되는 비트의 수IBM이 85년 인텔80286마이크로프로세서를 써 만든 16비트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여러 곳을 동시에 눌러도 동작을 인식하는 차세대 터치스크린 ‘서피스’를
발표
했고, 지난 10월에는 다국적 석유회사인 셸이 미국 시카고 주유소에 손가락이 신용카드를 대신해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 결제시스템을 설치했다.미래에 손가락만으로 돌아가는 디지털 세상이 열리더라도 ... ...
운동량 체크하고 걸음법까지 보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005년 8월 미국 워싱턴대의 고고학자 에릭 트린커스 교수는 고고학저널(JAS)에
발표
한 연구보고서에서 인류가 수만 년전 튼튼한 신발을 신으면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해부학적으로 약해졌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발은 정말 약해졌을지 모른다. 맨발로 집 밖을 나가는 일은 상상만 해도 차고 ... ...
잘린 다리 다시 나게 하는 비밀 찾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신경말단에서 발현되는 nAG라는 단백질이 그 주인공이라고 ‘사이언스’ 11월 2일자에
발표
했다. 신경말단에서 발현된 nAG는 아체의 표피세포도 nAG를 발현되도록 유도한다.한편 잘린 다리의 말단에 생긴 아체는 잘려 나간 부분으로 정확히 분화해야 한다. 다리의 위치 정보를 주는 단백질은 프로드 ... ...
비누는 물고기 떼의 '적'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사는 습성을 방해해 생존 능력을 줄인다는 사실을 ‘영국왕립학회보’ 10월 23일자에
발표
했다.4-NP는 비누나 살충제, 그리고 하수처리 시에 널리 쓰이며 사람이나 동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다. 물고기가 4-NP에 오래 노출되면 여성호르몬이 과다증식하는 부작용이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된다MCGA는 VGA와 EGA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지는 모드다 IBM사의 PS/2 모델 25와 30과 함께
발표
되었다1 메가헤르츠는 초당 1백만 사이클의 전기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속도나 모니터의 리프레시 주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각 모니터마다 지원하는 수평 수직 주파수가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보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영남대 예방의학교실 사공준 교수팀이 한국예방의학회지에
발표
한 논문에 따르면 개인용 음향기기를 사용한 13~16세 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하루 4시간 이상 사용한 경우, 사용기간이 4년 이상인 경우, 누적사용기간이 13(하루사용시간×년)인 경우 소음성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던 환자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1967년 미국에서 CMTX5병을 가진 가족에 대한 논문이
발표
된 적 있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병명조차 몰랐기에 그저 증상을 꼼꼼히 기록해둘 수밖에 없었다. 얼마 전 김 교수의 연구결과가 세계적으로 알려지며 DNA샘플 한개가 배달됐다. 1967년 논문을 쓴 의사가 여전히 ... ...
이전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