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썰렁 홈즈의 가정부 로봇 '봇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과연 두 대의 로봇에서 서로 다른
점
은 어떤 걸까? 두 눈을 크게 뜨고 두 로봇의 다른
점
을 찾아보도록 하자. 첫 번째 문제의 정답로봇에 나와 있는 시간은 12시 45분. 하지만 현재 시각보다 25분 늦게 가고 있으므로 현재 시각은 오후 1시 10분이다. 정확히 47분간 충전하려면 오후 1시 57분까지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무기가 전쟁을 위해서 만들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점
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역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강력한 무기를 갖고 있지 못한 나라는 멸망하는 일도 많았었지요.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강한 국방력을 기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어떤 무기를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파워가 우주선으로 올라가 강한 힘으로 우주선을 우그러뜨리기 시작했다. 우주선은
점
차 균형을 잃고 바닥으로 떨어졌다. 이 때 어과동 샤프가 우주선을 큰 입으로 깨물어 박살을 냈다. 우주인들은 각자 무기를 가지고 밖으로 몰려나오기 시작했다. 작은 총처럼 생긴 무기로 다시 모든 것을 가루로 ... ...
너는 너무 물질적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먼저 물에 넣으면 오히려 잘 끓지 않아. 수프가 물에 완전히 녹는다면 소금물처럼 끓는
점
이 더 올라가겠지만 그게 아니라 알갱이 상태로 떠 있기 때문이야.과학 공부도 좋지만 난 너무 배가 고프다고~! 라면을 끓이는 시간은 3분 내외로 잘 조절해야 해. 이제 맛있는 라면이 완성된 것 같으니 어디 ... ...
게임중독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통해 알아보아요. 별로 그렇지 않은 것 같으면 1
점
, 정말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5
점
으로
점
수를 매기면 됩니다. 한번 체크해 볼까요?게임중독 진단해보기 20-49
점
: 정상적으로 게임을 하고 있어요.50-79
점
: 자칫 잘못하면 게임에 중독될 수 있어요. 매우 조심해야 해요.80
점
이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피를 빨아 먹고 산다. 하지만 물린 사람은 피만 빨릴 뿐 죽지 않는다는 게 특이한
점
.갓파일본의 호수 주위에서 사는 물귀신.‘하동’이라고도 부른다. 어린이의 몸집을 하고 성격이 장난스러워 사람을 놀래키기 좋아한다. 머리에 이고 다니는 접시의 물이 떨어지면 힘이 약해진다고 한다 ... ...
초강법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순수한 철을 얻기란 무척 힘듭니다. 게다가 구리의 녹는
점
이 1084℃인데 비해 철의 녹는
점
은 1535℃로 훨씬 높아 쉽게 녹이기도 어렵지요.하지만 우리 조상들은 달랐답니다. 이미 고조선 때부터 철기문화를 받아들여 농기구나 간단한 무기를 만드는 데 철을 이용했습니다. 고구려가 건국될 무렵에는 ... ...
거울여왕 '에또 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보니 커다란 거울이 있는 곳이 또 나왔다. 이번에는 거울 두 개가 붙어 있었다. 특이한
점
은 각각의 거울을 90도로 기울여 붙여놓은 것이다. 이 때 어디선가 거울여왕의 목소리가 들려왔다.“여기 4개의 입구가 있다. 네가 그 특수거울 앞에 서면 4개의 입구에 거울에 비친 네 모습이 나타날 것이다.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탄생하기까지는 수많은 애니메이터들의 노력이 필요하단다. 요즘 애니메이션은
점점
더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 일을 맡아서 한단다.기획 PD : 어떤 애니메이션을 만들면 재미있고 또 많은 사람들이 볼까 생각하는 일을 한단다. 그러려면 수많은 애니메이션을 보고 연구해야겠지. ... ...
달에서 월드컵이 열린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글쓰기는 신기하고 새로 알게 된 재미있는 과학적 사실을 나열하는데 그치고 있다는
점
입니다.개별적인 과학 개념 하나하나만을 기억해야 하는 현실에서 좀 벗어나고 싶은 게 이번 과학논술대회 초등부의 기본 방향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내용에 대한 스스로의 이해입니다. 어린이가 ... ...
이전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