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7,01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공장 '불산' 대체 천연물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31
10nm(나노미터, 1nm은 10억 분의 1m) 규모의 반도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 독성
화학
물질을 사용했을 때와 같은 수준이다. 연구팀은 “향후에는 천연소재인 실크를 활용한 고효율 바이오센서나 바이오마커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거친 표면에서 더 빨리 자라는 뇌신경세포
과학동아
l
2014.03.31
의공학, 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 3월 5일자 온라인판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진료·치료 척척… 피부에 붙이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03.31
‘입는 컴퓨터’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김대형 서울대
화학
생물공학부 교수팀은 나노 물질을 사용해 운동 장애 질환을 진단하고 결과에 따라 치료까지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3월 31일자로 ... ...
명화(名畵)는 대기오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03.30
붉은 정도를 에어로졸 광학두께(AOD) 값으로 나타내는 연구를 진행해 그 결과를 ‘대기
화학
과 물리학(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5일자에 발표했다. AOD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 얼마나 산란·흡수됐는지 나타내는 지수다. 이 값이 크다는 것은 대기 중에 에어로졸이 많고 산란이 ... ...
소의 폐가 비타민 C 덩어리?!
과학동아
l
2014.03.30
입을 통해 식도를 타고 움직이는 과정을 여행처럼 풀어가며 매 단계에서 발생하는
화학
현상과 영양분의 배분 등을 실험과 통계를 이용해 설명한다. 와인 감별사가 비싼 와인을 구별할 수 있는 이유에서 얼마나 먹으면 위가 터지는지, 정말 변비로 죽을 수 있는지까지 끊임없는 궁금증을 제시하며 ... ...
아름다운 꽃…알고보면 인간을 '쥐락펴락' 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3.28
향은 사프란 크로커스의 암술이 곤충을 유혹하기 위해 만드는 ‘사프라날’이라는
화학
물질 때문이다.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이나 각성 효과가 있는 ‘카페인’은 꽃식물들이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내는 독성물질이다. 새나 사람에게는 문제가 없는 캡사이신은 쥐들에게는 ... ...
3D ‘나노’ 프린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7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20일자에 하이라이트 연구로 소개됐으며 미국
화학
공학회가 발간하는 ‘랭뮤어’ 올해 1월 28일자에도 실렸다 ... ...
[총장, 대학을 바꾼다]다국적 기업과 R&D센터 설립, 제2의 퀴리부인 탄생 기대하길
동아일보
l
2014.03.27
등 각 기관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세계 10대
화학
종합그룹인 솔베이는 2011년 특수
화학
부문 글로벌 본부의 R&D 센터를 이화여대에 만들고자 260억 원 규모의 산학협력을 맺었다. 김 총장은 “솔베이의 기술개발 협력 파트너 가운데 대학은 이화여대가 유일하고, 국내 대학과 다국적 기업이 글로벌 R&D ... ...
다이어트 음식이 문화재 구원자
과학동아
l
2014.03.26
효과적으로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굴로타 교수는 “한천은 물리·
화학
적으로 안전한 ‘스펀지’ 역할을 한다”라며 “독성이나 문화재손상 문제 없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앞으로 공장에서 제조한 계면활성제를 대체하는 새로운 문화재 ... ...
우주에 핀 ‘해바라기’…제2의 지구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25
제2의 지구 후보군을 찾고 있다. 하지만 ‘항성’의 강렬한 빛 때문에 물의 존재 여부나
화학
조성 등을 분석, 생명체의 증거를 찾는 데 필요한 정확한 행성표면사진을 찍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강렬한 빛이 망원경 렌즈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 ...
이전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