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통해 바라본 보호색과 위장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곤충을 더 잘 잡아먹는다고 캐나다 캘거리대 연구팀이 국제저널 ‘동물행동’ 1월호에
발표
했다. 색맹 원숭이는 뇌로 전달되는 색 정보가 적어 형태나 윤곽을 더 잘 간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흰목꼬리감기원숭이는 색맹이라는 ‘특수한’ 눈으로 보면 숨어있는 곤충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는 ... ...
스스로 생각하는 스마트 웹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정 교수는 이를 2007년 4월 데이터베이스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대회인 다스파(DASFAA)에서
발표
해 주목을 받았다. 웹 3.0 시대의 화두는 ‘개인화’정 교수는 “웹2.0시대의 화두가 ‘참여’였다면, 시맨틱을 필두로 하는 웹3.0시대의 화두는 ‘개인화’”라고 말했다. 미래에는 소비자의 기호가 ... ...
사람 소리 구별하는 똑똑한 모래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손바닥보다도 작은 동물인 모래쥐가 사람의 소리를 알아듣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되었습니다. 미국 사우스앨라배마대학교의 조앤 시넛 박사팀은 모래쥐의 눈앞에 두 개의 먹이통을 놓고 실험을 했어요. 미리 녹음해 둔 사람 모음 소리를 계속 들려 주며, 특정한 모음 소리가 날 때 먹이통에 먹이가 ... ...
번쩍번쩍 형광 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순천대학교 발생학연구팀은 적색 형광빛이 나는 복제고양이를 세계 최초로 생산했다고
발표
했어요. 어둠 속에서 눈만 빛나는 보통 고양이와 달리, 몸 전체가 형광으로 빛나는 고양이가 태어난 거예요. 연구팀은 먼저 흰색 터키쉬 앙골라 고양이의 피부세포에서 붉은 형광빛이 나도록 유전자를 ... ...
'좀비 바퀴벌레'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조종할 수 있는 일명 ‘좀비 바퀴벌레’를 만든다고 ‘실험생물학지’ 12월호에
발표
했다. 이 말벌은 바퀴벌레의 몸에 알을 낳는 습성을 갖고 있다. 새끼가 자랄 때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다. 알을 낳기에 적당한 바퀴벌레를 고르고 바퀴벌레에 침을 쏘아 마비시키는데, 먹이를 마비시키는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결국 멸종할 것으로 염려되는 귀한 식물이다영국의 수학자인 앨런 튜링이 1936년
발표
한 가상의 자동기계 테이프에 입력된 부호를 그대로 흉내내 자기 자신을 그대로 복제해낼 수 있는 이론적 프로그램이다인도에서 아랍을 거쳐 중세 유럽으로 보급된 용어로서 아랍 수학자 '알콰리즈미'의 이름에서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대규모 공장지대의 THC 기준인 50ppm과 비교해도 굉장히 높은 수치”라고 같은 달 13일
발표
했다. THC는 대기오염을 측정하는 지표 가운데 하나다.그러나 애초 언론이 문제 삼았던 벤젠과 톨루엔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김 교수는 그 까닭을 “이번 사고 때 유출된 기름이 정제되지 않은 원유였기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도쿄에서 열린 ‘국제우주탐사포럼’에 참여해 토론한 결과 ‘국제우주탐사전략’을
발표
했다. 이 전략의 골자는 인류가 언젠가 생활할지 모르는 달이나 화성에 탐사선과 사람을 보낼 때 국제적으로 협력하자는 내용이다.NASA가 주도하는 우주탐사계획에 따르면 2020년쯤 사람이 다시 달에 발을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Mycoplasma capricolum)이라는 미생물 세포에 이식해 종을 변환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발표
했다.즉 A종의 세포에 B종의 유전체를 이식하면 A종이 B종으로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사례다. 비록 자연에 이미 존재하는 미생물에서 유전체 DNA를 분리해 사용한 실험이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세균의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독도심층류, 독도효과처럼 국제학술지에 독도라는 이름이 들어간 과학적 성과가 많이
발표
될수록 한국과 독도의 연결고리가 든든해진다는 것이 독도사업단의 생각이다. 이렇게 모은 해양조사자료는 2010년까지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한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질 예정이다.독도 주변에는 한류와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