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S)에 대해서 최소 단위 행렬은 각각 대칭성 없음(0)과 있음(스핀에 따라 1과 -1로 구분) 등 총 세 가지로 나뉜다. 그런데 비대칭 반전에서 세 가지 경우(0, 1, -1) 중 두 개는 시간과 전하 반전을 연속한 것과 같다. 따라서 하나만 남고(AIII, S=1), 결국 모든 차원에서 각각 10가지의 분류가 생긴다. Z는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두면서 화음을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다. “이명동음적 변화와 음 앞에 붙는 꾸밈음 등 소름을 느끼게 하는 음악 구조의 공통점은 바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소리가 변하는 것입니다.”음악 = 실제 위협 없이 놀라는 간접 경험 감동을 느끼는 경우를 떠올려보면 납득할 만하다. 흔히 예상치 못한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아이들을 가르치는 학부모도 있더라고요. 현재 플레이스토어에 스무 개가 넘는 앱을 등록했는데 앱마다 1만 명 정도는 다운받은 것 같아요.” 스마트폰, 걸림돌에서 디딤돌이 되다보통 스마트폰은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학교 안에서는 사용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 교사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앞으로 나갔다. 남자는 손에 쥔 종이에 뭔가를 쓰느라 정신이 팔려 있었다.어느새 등 뒤로 다가간 하림은 전기충격봉을 쑥 빼냈다. 남자가 깜짝 놀라서 뒤를 돌아보았다.“너…, 너는….”하림은 전기충격봉의 스위치를 누르고 남자에게 갖다댔다.지지직-“윽!”남자는 단말마의 소리를 지르며 그 ... ...
- Part 2. 초미세먼지는 국경이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칼륨 등도 있지요.이렇듯 미세먼지의 성분을 자세히 분석하면, 당시 바람의 세기나 방향 등을 토대로 그 성분이 어디에서 배출됐는지 지역이나 국가를 유추해 낼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쿨럭쿨럭~, 깨끗한 공기를 찾아라!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Part 2. ... ...
- 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장점이 있답니다.주세종 책임연구원은 “이 지역은 높이가 20m보다 훨씬 크고 아연, 구리 등의 성분을 많이 함유한 열수분출공이 30~40개씩 밀집해 있었다”면서 “우리 연구팀은 현재까지 발견된 해저 광구의 비활성 열수분출공 군집 중 가장 큰 곳으로 보인다”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 주세종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소, 산소가 결합돼 포도당과 산소 기체로 변한답니다. 포도당은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으로 이동해 차곡차곡 저장되고 산소는 호흡을 통해 식물 밖으로 나가지요.동물은 식물에 저장된 포도당을 먹으며 에너지를 얻고, 식물에게서 나온 산소를 마시며 호흡을 해요. 즉, 광합성은 식물뿐만 아니라 ... ...
- [과학뉴스] 백악기 뜀걸음 포유류 발자국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화석만이 알려져 있었다. 코리아살티페스 발자국 화석은 이들과 발가락 형태와 각도 등 형태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며, 가장 명확한 뜀걸음의 형태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백악기 연구’ 2월 7일자에 실렸으며, 발자국 화석은 내년 하반기부터 일반인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 ...
- [과학뉴스] 혈당 재고, 약 넣어 주는 ‘당뇨 패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이현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미량의 땀으로 혈당 수치를 재고, 위험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약물을 주입하는 ‘당뇨 패치’를 개발했다. 이 패치로 혈당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땀의 양은 약 1μL다. 10분 정도 ... ...
- [과학뉴스] 콧물로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진단할 수 있었다. 감기의 원인 바이러스를 빠르게 확인하면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등 더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긴즈버그 박사는 “감염을 일으킨 병원체를 찾지 않고, 병원체에 대한 인체의 반응을 분석해 병을 알아내는 것으로, 진단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6576586596606616626636646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