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NASA)이에요. NASA는 개기일식을 NASA TV에 생중계해 전세계 사람들과 공유했어요. 이를 위해 11개의 우주선과 3대의 항공기, 50개 이상의 풍선 관측기와 국제우주정거장의 우주비행사까지 투입했지요. 또한 SNS로 개기일식 댄스와 예술 작품 등을 응모 받는 것은 물론, 시민들이 과학자들의 연구에도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분명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거라고 생각했지요. 그럼 개기일식 경로에 있는 1만 명의 사람들이 각자 100장의 사진만 찍어 줘도, 사진이 아닌 12시간 분량의 개기일식 영상을 만들 수 있어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지요. Q. 얼마나 많은 시민들이 참여했나요?개기일식이 일어난 지 며칠 만에 10TB ... ...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테이프 등으로 매우 간단해서 많은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요. 지난 2015년 11월 18일에는 미국 뉴멕시코주의 화이트 샌즈 사막에서 7명의 사람들이 에어로센을 타고 2시간 15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어요. 화석 연료나 태양 전지판, 헬륨, 배터리 없이 오직 공기만을 이용해 가장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빛은 직진하려고 해도 구부러진 시공간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휘어지게 되지요. 1919년 개기일식은 20세기 들어 가장 긴 일식 중 하나였어요. 약 7분 간 달이 태양을 가리자 평소 태양 때문에 보이지 않던 별들이 모습을 드러냈지요. 영국의 천문학자 아서 스텐리 에딩턴은 태양과 아주 가까이에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기구는 1782년 발명된 이후부터 수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하늘을 날아왔어. 지금도 관광이나 레저 스포츠로 기구를 많이 사용해. 하지만 기구는 과학 연구에도 중요한 몸이란 말씀! 어디에 쓰이냐고? 탈것에서 날씨를 관측하는 도구로!‘기구’는 바깥보다 기구 안의 공기를 가볍게 만들어 위로 ... ...
- [현장취재②] 지구사랑탐사대 5기 심화교육 곤충 표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채집했어요. 몸이 딱딱하고 고정하기 쉬운 딱정벌레와 매미가 주요 대상이었답니다. 1시간 동안 즐거운 채집을 마치고 돌아온 대원들을 맞이한 사람은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배윤혁 연구원이었어요. 그런데 배윤혁 연구원이 낸 첫 번째 과제를 들은 대원들은 당황하고 말았어요. 표본을 만들기 ... ...
- 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원리지요. 이후 현대식 엘리베이터는 도시의 풍경을 완전히 바꿔놓았어요. 건물 높이가 1km를 넘는 초고층의 시대에 진입하게 됐고, 엘리베이터 또한 이에 맞춰 계속 진화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Part 1. 초고층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하고 있지요. 현재 우주로 가기 위해서는 로켓을 쏘아올려야 해요. 그런데 로켓으로 1kg의 물건을 우주로 옮기는 데 1000만 원이라는 큰 비용이 들어요. 이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떠오른 것이 우주 엘리베이터지요. 모터를 달고 레일을 따라 올라가는 것이 무거운 로켓을 쏘아올리는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멸종 위기인 동물들이 다시 생태계로 돌아오는 계기가 될 수도 있지요. 인터뷰 “10년째 하늘소의 매력에 푹 빠져 살고 있어요”_론지코리아(이승현, 최웅, 장현규) 지난 2015년, 하늘소를 좋아하는 청년 3명이 을 펴냈어요.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30년만에 출간된 하늘소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지구상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후, 6월에 다른 곳으로 떠났지요. 올해는 5월 초 같은 섬으로 돌아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쌍이 번식에 성공했답니다. 위 사진의 어미가 품고 있는 새끼가 올해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뿔제비갈매기지요. 뿔제비갈매기는 1930년 이후 63년 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어요. 심지어 과학자들은 멸종된 ... ...
이전6566576586596606616626636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