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
여럿
여러
d라이브러리
"
다
"(으)로 총 9,37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때문에 저장시설은 발사대 근처에 있
다
. 로켓은 발사 한달 전부터 발사대에 설치된
다
. 발사대에 조립타워가 결합된 상태로 1단부터 조립되며 발사를 앞두고 조립타워가 분리된
다
. 발사가 가까워지면 로켓 자체뿐만 아니라 기상상태를 수시로 점검한
다
. 1986년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폭발은 발사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
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로봇 가전의 바람이 서서히 불고 있
다
. 그동안 산업현장에서나 각광받던 로봇이 인간의 가정생활에서 알맞은 임무를 찾으면서 성공적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
다
. 현재 가정에 가장 먼저 도입 ... 우리나라 가전사와 기술력을 갖춘 로봇전문 벤처들의 활약은 앞으로 더욱 기대되고 있
다
... ...
목성 위성의 얼음 두께는 25km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살 만한 장소로 천문학자들은 화성과 더불어 목성의 위성 유로파를 손꼽는
다
. 지난 5월 18일자 BBC뉴스 인터넷판은 유로파를 둘러싸고 있는 얼음의 두께가 25km에 달 ... 비롯해 목성의
다
른 위성인 가니메데와 칼리스토를 함께 탐사하는 새로운 계획이검토되고 있
다
.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주고받으면서 명령을 차례로 실행하는 종래의 컴퓨터와는 달리, 데이터가 갖추어 질 때마
다
연산이 실행되도록 만든 특수 컴퓨터디지틀데이터를 고속도로 전송하기 위해 여러 컴퓨터나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을 하나의 통신로로 실현하는 통신로사영기하학(射影幾何學)의 기본 정리 이 정리와 그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인간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생겼을까? 인간은 왜
다
른 동물과
다
를까?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품어져왔던 의문들이
다
. 하 ... 영장류의 진화와 계통, 그리고 이들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에 대한 이해와 치료를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될 것이
다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화석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여야 한
다
. 그러나 산업이나 가정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무턱대고 줄일 수는 없는 노릇이
다
. 따라서 똑같 ... 수송에서 전기와 석탄, 석유의 이용효율향상까지 세부 분야별로
다
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
다
... ...
4 화석연료 대신하는 미래 청정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최근 미국의 이라크 공격으로 인한 유가 불안에서 볼 수 있듯 불안정한 석유시장은 에너지의 97%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 충격을 준
다
. 더욱이 국제사회는 이산화탄소 배출 ... 성능평가사업의 추진방안과 제도개선 사항이 보완됐
다
. 이를 위한 법률이 2003년 3월에 마련됐
다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조금 전까지 컵 안에서 찰랑거리던 물이 감쪽같이 사라졌
다
. 물이 어디로 사라졌을까 어리둥절해 하는 학생들은 전석천 교사의 능청스러운 미소에 무엇인가를 알아챘
다
는 듯 웃음을 터뜨리 ...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이 과학기술문화 대중화를 위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
다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
다
붉
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1953년 5월 29일. 에드먼드 힐러리와 셰르파 텐징 노르기는 인류 최초로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에 올랐
다
. 올해가 에베레스트 최초 등반 50주년이
다
. 이를 ... 네팔의 훈자, 에콰도르의 발카밤바, 코카서스의 아브하지야 등이 모두 고산지대에 위치하고 있
다
는 사실도 같은 맥락이 아닐까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20세기 초 천문학자들은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멋진 광경으로 대형 굴절망원경을 통해 본 구상성단을 꼽았
다
. 수많은 별들이 망원경 시야에 백사장의 모래알처럼 뿌려져 있는 모습이 ... 보지 못했던 사람들이라면 이날 화성을 길잡이 삼아 손쉽게 천왕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
다
... ...
이전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