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상"(으)로 총 9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나의 지옥일 때2019.01.19
- 싶기도 하다. 내가 나를 대하는 태도가 중요한 이유는 내가 바로 나의 지옥이면 이 세상 어디서 무엇을 하든 늘 지옥이기 때문이다. 또한 나에게 있어 지옥인 내가 타인에게도 얼마든지 지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족함 투성이인 인간으로 태어나서 나의 부족한 점과 타인의 부족한 점만 보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2019.01.12
- 걸 안다고 말하는 사람이 세상에 해를 끼치듯, 근거 없는 자신감과 우월감 역시 지나치면 세상에 득이 되기보다 해가 될지도 모르겠다. 참고자료 Cichocka, A., Marchlewska, M., & de Zavala, A. G. (2016). Does self-love or self-hate predict conspiracy beliefs? Narcissism, self-esteem, and the endorsement of conspiracy theories. Social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2019.01.08
- 고온초전도체, 상온에서도 초전도성이 나오는 물질을 만들지도 모른다. 이렇게 되면 세상은 완전히 바뀔 것이다. 앞으로 일이 이렇게 진행된다면 그래핀 초전도 현상의 발견자가 노벨상을 받는 건 당연한 수순일 것이다. 이 경우 ‘2018년 화제의 인물’이 된 22세 대학원생 차오위안이 수상자 ...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동아사이언스 l2019.01.01
- 툴레'로 불린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 말로 바꾸면 ‘극복의 땅’이며, 당시 알려진 세상의 경계에 해당하는 먼 북쪽 지역을 가리킨다. 울티마 툴레는 길이가 약 30㎞ 안팎의 얼음 소행성이다. 지구에서는 약 65억㎞, 명왕성에서 약 16억㎞나 떨어진 곳에 있다. 과학자들은 태양 주위를 295년에 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2018.12.29
- 낮았지만, 비우울증 집단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나 타인, 세상을 향한 너그러움의 시작은 ‘그럴 수도 있지’라고 생각해보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던 적이 있다. 예컨데 갈등 상황에서 그 사람이 나를 괴롭히기 위해 일부러 그랬다거나 애초에 그 정도밖에 안 되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2018.12.22
- 한다. 예컨데 ‘봉사활동’ 같이 어떤 경험을 통해서 사람들과 깊은 유대감을 맺고 이 세상에 나를 필요로 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쓸모있음감’을 느끼게 되면, 그 경험은 내 삶은 허무하지 않고 어떤 의미와 목적이 존재한다는 ‘삶의 의미감’을 가져온다. 이런 류의 경험은 많이 쌓일수록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2018.12.15
- 대 에밀리 지텍(Emily Zitek) 교수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당한 억울한 일을 떠올려보게 하면 세상에서 나만 제일 억울하고 불쌍한 사람이라는 피해의식이 커지고 그 결과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나는 더 이상 희생할 수 없다고 하는 등 이기심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보고했다(Zitek et al., 2010). 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 만든 세작(細雀)은 고급 잎차다. 위키피디아 제공 '김해의 백월산에는 죽로차가 있다. 세상에서는 수로왕후인 허씨가 인도에서 가져온 차씨라고 전한다(金海白月山有竹露茶 世傳首露王妃許氏 自印度持來之茶種).' -이능화,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에서 단골집 근처에 내 취향에 더 맞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존경과 사랑에 빠지는 기쁨2018.12.01
-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아직 세상에는 따듯함이 있고 정의가 살아 있다고 느낄 때, 세상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고 이기적으로 살아야만 한다고 느낄 때에 비해 더 선행을 할 마음이 생긴다는 것이다. 동경(admiration)은 언뜻 고양감과 비슷해 보이지만 그 원인이 조금 다르다. 위에서 언급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2018.11.21
- 연구단에서 일어날 일을 예상했다면(미국에서 오래 산 그가 그랬을 것 같지는 않지만) 세상을 떠나는 순간 눈을 감지 못했을 거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아래는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면역’에 실린 부고의 한 부분이다. “찰리(찰스의 애칭) 경력의 마지막 장은 아마도 가장 창조적이었을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