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발효식품으로 당뇨, 지방간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4
간세포가 파괴되면서 발현되는 유해효소인 ALT와 AST가 30%, 25% 감소해 발효울금이 간 독성
해독
작용에 탁월하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임 박사는 “이 연구는 천연물로 당뇨와 간질환을 치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데에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산업화를 통해 두 질환의 효과적인 ... ...
신품종 - 신물질 개발… ‘富農의 꿈’ 주렁주렁
동아일보
l
2013.04.30
진행되고 있다. 국립농업과학원 문정환 박사팀은 배추 유전체의 염기쌍 2억8400만 개를
해독
하고 4만1174개의 유전자 정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문 박사는 “이 배추 유전체 정보를 활용하면 새로운 품종, 유전자변형(GM) 작물 등을 개발하기가 한결 수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금보다 비싼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인류(데니소바인으로 명명)의 손가락뼈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해 게놈을 거의 완벽하게
해독
했다는 내용이었다. 데니소바인은 네안데르탈인과 가까운 인류로 밝혀졌는데, 놀랍게도 현생인류 가운데 뉴기니아와 호주에 사는 원주민 게놈의 5%가 데니소바인 DNA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수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체크의 ‘RNA효소(ribozyme)’ 발견의 의미를 해설하면서 만든 말이다. 메신저RNA 서열을
해독
해 아미노산 사슬을 만드는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을 연구하던 우즈는 리보솜을 이루는 구성성분인 5S 리보솜RNA(S는 침강계수로 앞의 숫자가 클수록 원심분리를 하면 더 빨리 침강한다)를 주목한다. 참고로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비용은 DNA 100만 바이트당 정보를 저장하는데(DNA합성) 1만2400달러(약 1300만 원)이고 정보를
해독
하는데 220달러(약 23만 원)이다. 물론 이 비용은 현재 디지털 정보 저장 방식과 비교하면 터무니없이 비싸지만 그럼에도 오랜 시간(600~5000년)이 지나면 비용이 같아진다(현 방식은 10년마다 다시 저장한다고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해독
했다. 1968년에는 홍콩독감 대유행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도
해독
해 둘 사이에 돌연변이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1990년대 들어 마침내 피어스 교수팀은 독감 바이러스의 게놈에서 범용독감백신의 표적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냈다. 바로 M2라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밝혔고 언어의 경계가 곧 유전적 차이가 급격히 일어나는 지점임을 보였다. 최근 게놈
해독
이 쉬워지면서 인류학 연구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어 조만간 소칼의 주장은 좀 더 상세히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20. 셔우드 롤런드 (1927. 6.28 ~ 2012. 3.10) 오존층 파괴의 원인을 밝힌 화학자 프레온가스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게놈의 구조에 관심이 많았는데 그가 물리적 방법으로 해석한 게놈의 구조는 훗날 게놈
해독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기본 골격이 됐다. 앞에서 소개한 2002년 논문도 게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교의 위험성을 지적한 것이다. 즉 유전자의 염기서열만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 최근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HGP의 프랜시스 콜린스와 셀레라의 벤터가 당시 클린턴 대통령과 함께 인간게놈
해독
(초안)을 공동발표하는 역사적인 자리를 만드는데도 큰 역할을 했다. 4. 오스카 밀러 (1925 ~ 2012. 1.28) 교과서에 있는 ‘그 사진’을 찍은 사람 ‘공부는 때가 있다’고들 말하지만 100% 그런 것도 아니다. ‘늦었다고 ... ...
곡물 게놈
해독
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3분의 2 정도만 그 뿌리를 찾아놓은 상태다(A타입인지 B타입인지 D타입인지). 밀 게놈 완전
해독
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인류는 병과 식물들을 작물화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정착했고 문명을 꽃피웠다. 대표적인 벼과 식물의 개통수에 밀의 작물화 역사를 재구성해 봤다. 오늘날 밀(밀빵)이 꽤 복잡한 ... ...
이전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