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중
뒤
아래
이후
이래
뉴스
"
이하
"(으)로 총 3,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폐수에서 전기와 식수 동시에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확산하면 직류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설계됐다. 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이하
의 오염물질을 95% 이상 제거할 수 있어 폐수에 존재하는 미세플라스틱이나 중금속 입자 등을 정화할 수 있다. 또 10㎕(마이크로리터·1㎕는 100만분의 1L)의 물로 3시간 넘게 전력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번에 ... ...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새 양자 물질 발견…양자컴 소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약 1m3당 1경 개(1015개)로 자성 불순물 사이 간격이 약 1㎛(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이하
정도로 밀집돼 있다. 온도가 점점 낮아지면 자기적인 특성을 상쇄시키기 위해 주변 전자들이 반대 방향의 스핀을 가지고 자성 불순물 주위를 에워싸는데 이를 스핀구름이라고 한다. 임 교수는 "금속 ... ...
미세먼지 7일까지 '나쁨'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PM10)의 예측 농도가 하루 81~150㎍(마이크로그램, 100만분의 1그램)/㎥ 사이이거나 2.5μm
이하
초미세먼지(PM2.5)의 예측 농도가 36~75㎍/㎥ 일 때 예보된다. 이번 미세먼지는 전일 미세먼지가 잔류하고, 대기 정체로 국내 발생 미세먼지가 축적돼 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서울과 인천, 경기 ... ...
"초저출산으로 30년 뒤 이공계 석박사생 반토막"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감소추세가 지속될 경우 2050년 무렵에는 이공계 석‧박사과정생 수가 현재의 절반
이하
규모로 쪼그라들 전망이다. 이공계 석사과정생은 현재 4만5000명 정도인데 2050년에는 2만2000명~2만7000명 규모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이공계 박사과정생은 현재 4만1000명에서 2050년 2만4000명 수준으로 ... ...
마이크로LED 픽셀 수직으로 쌓아 디스플레이 화질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LED는 픽셀을 나타내는 소자 하나의 크기가 10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이하
인 소자를 말한다. 마이크로 LED는 유기소재를 재료로 사용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달리 질화갈륨(GaN)을 사용해 발광효율이 더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픽셀을 수직으로 쌓는 방법을 이용하면 픽셀이 ... ...
미세먼지 속 세균이 호흡기 질병 유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15일 게재됐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1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이하
크기의 작은 먼지입자를 말한다. 미세먼지는 각종 화합물과 유기물로 이뤄진 복합체다.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다수 포함돼 있으며 호흡을 통해 폐로 들어온 세균성 병원체들은 감염을 ... ...
마스크 어디서 벗어도 되나…"·학교·승강장 OK 통학버스 NO"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따라 과태료가 부과된다. 마스크 착용 위반 당사자에게는 위반 횟수와 관계없이 10만원
이하
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20일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1단계 완화를 30일부터 시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유행을 막기 위해 202 ... ...
국내 최초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 타이틀 주인공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시험발사에 성공한 후에는 소형발사체 ‘한빛 나노’를 2024년 발사할 계획이다. 50kg
이하
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로 투입하는 발사체다. 우나스텔라는 국내 첫 유인 발사체 개발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2월 설립됐다. 고도 100㎞까지 유인 우주 비행을 할 수 있는 발사체를 개발해 준궤도 우주여행 ... ...
우주 비밀 밝혀주던 제임스웹우주망원경 또 고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제공 NASA는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 등과 함께 허블우주망원경(
이하
허블)의 바통을 이어받을 차세대 우주망원경으로 1996년부터 JWST를 개발했다. ‘제임스웹’이라는 이름은 1960년대 NASA가 인간을 달에 보낸 ‘아폴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당시 국장인 제임스 웹의 이름을 땄다. 인류 ... ...
日, 올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전문가들 "안전성 담보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걸러지지만 삼중수소는 그대로 빠져나간다. 도쿄전력은 삼중수소 수치를 식수 규제기준
이하
로 낮추기 위해 바닷물로 오염수를 희석한 뒤 파이프를 통해 해안에서 1km 떨어진 바다에 방류한다는 계획이다. 리치몬드 교수는 "'식수'가 안전한 기준처럼 들리지만 여전히 자연 상태의 바닷물보다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