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팀
재주꾼
재줏군
수재
축구선수
축구
명수
뉴스
"
선수
"(으)로 총 757건 검색되었습니다.
‘류현진 직구급’ 우주선이 지구로 돌진?
과학동아
l
2014.07.08
1억 분의 1억 분의 1만큼 가볍다. 그런데 이렇게 작고 가벼운 양성자가 LA다저스의 류현진
선수
가 던진 시속 150km 직구만큼의 에너지를 갖고 있다면 어떨까. 천체물리학계에서는 이런 극한의 에너지(5x1019eV)를 가진 우주선(線)이 우주의 어느 곳에서 기원하는지가 오랫동안 수수께끼였다. 우주의 ... ...
노벨상 수상자들의 ‘반전’ 매력에 풍덩
과학동아
l
2014.07.04
을 발견해 1996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해럴드 크로토 박사는 축구공을 그려 놓고 마치 축구
선수
처럼 멋진 슛 동작을 선보였다. 영하 273도 근처까지 온도가 떨어지면 끈적끈적한 성질(점성)이 사라지는 초유체의 존재를 예측해 200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앤서니 레깃 박사는 초유체에서 원자의 ... ...
“멀쩡한 손·발 제거하고 의수, 의족 선택하는 세상온다”
과학동아
l
2014.07.03
의족을 구매해 사용하는 미래가 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발이 없는 육상
선수
‘오스카 피토리우스’가 탄력이 좋고 가벼운 의족 덕분에 정상인보다 더 빨리 달릴 수 있게 되면서 논란이 된 적이 있다”며 “앞으로 더 뛰어난 인공장기, 의족․의수가 개발될 것을 예상할 수 있는 만큼 ... ...
[World Cup Brazil 2014: 대~한민국!] 2·3차전 경기장 기후, 승패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2014.06.19
점이 변수다. 서상훈 교수는 “폐활량이 좋고 산소 운반 능력이 뛰어난 신체 조건을 가진
선수
가 많은 팀이 유리할 것”이라며 “산소 운반 능력은 1분간 뽑아내는 혈액의 양이나 심박수, 동맥 혈액 내 산소 함량 등을 측정해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유경 국립기상연구소 연구사는 “이 정도 ... ...
남미 국가들이 축구처럼 과학도 잘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15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남미의 축구팬들이 해외에서 활약을 펼치는 남미 축구
선수
를 지켜봤듯이 과학에서도 해외에서의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 그럼에도 지난해 미국을 찾은 브라질 유학생의 수는 1만1000명으로 인구수나 경제력이 뒤지는 터키 베트남보다 적다. 중남미의 모든 ... ...
빛 쪼였더니 암세포가 번식하다가 스톱!
과학동아
l
2014.06.11
청색광을 비추면 애기장대에서 기인한 단백질이 반응해 단백질 복합체(올가미)를 만든다. 이 올가미는 특정 단백질의 활성을 방해한다. - 기 ...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허 교수는 축구를 예로 들어 “
선수
를 빼고 경기를 하면 그
선수
의 역할을 알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 ...
25m 거리서 프리킥 날릴땐 15도 위 초속 30m로 강하게
과학동아
l
2014.06.09
“중앙에서 공격 진영으로 공을 정확하게 연결해주는
선수
, 우리 대표팀에서는 기성용
선수
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 프리킥은 15도 각도에 초속 30m로 브라주카가 자불라니보다 더 민감하게 다뤄야 하는 공이라는 점도 드러났다. 패스할 때 브라주카가 받는 공기저항은 ... ...
상대 골 門 열려면 삼각 숏패스로!
수학동아
l
2014.06.09
일도 하고 있다. 그는 “박지성, 박주영
선수
를 알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기성용
선수
의 패스와 경기 스킬을 매우 인상 깊게 봤다”며 한국팀의 선전을 응원했다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키 큰 사람이 있었던 데서 비롯한 유전변이일 수도 있고, 유전자와 상관없이 최홍만
선수
가 자라면서 후천적으로 나타난 개체변이일 수도 있다. 돌연변이는 지금까지 없던 완전히 새로운 변이를 만들어 내는 현상으로 방사선이나 화학물질 등이 원인이 돼 발생한다. 먼저 DNA에 생기는 ... ...
“등산 잘 하는 사람의 유전자는 태어날 때부터 다릅니다”
과학동아
l
2014.06.04
II형과 달리 치타처럼 순발력이 뛰어나고 힘이 강한 경우가 많거든요. 단거리 육상
선수
를 떠올리면 됩니다. 사실 저도 DD형 유전자를 지녔죠.” 몽고메리 교수가 이처럼 선천적인 능력을 부여하는 특정 유전자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 건 군인들의 생활을 지켜보다가 문득 의문이 생기면서부터다.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