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54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 땅속에서 말라리아 치료 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침입해 병원성을 띠기도 한다. 연구진은 울릉도 토양에서 200여 종의 방선균을
배양
했고, 여기서 그동안 보고되지 않았던 희귀 방선균(Catenulispora sp)을 발견했다. 균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네 가지 화합물이 말라리아 원충의 일종인 열대열원충의 생장을 방해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연합뉴스] 이를 바탕으로 희귀 방선균(Catenulispora sp. KCB13F217)
배양
액으로부터 4종의 신규 화합물을 찾아냈다. 새 화합물에는 희귀 방선균 속명을 따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 A∼D'(catenulisporolides A∼D)라는 이름이 붙었다. 생리활성 검정 결과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는 ... ...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다시 불붙은 인간 배아 연구 논쟁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지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핵을 제거한 난자에 체세포 핵을 이식해 이를 실험실에서
배양
한다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자연적으로 수정된 배아가 그 부모와 유전적으로 동일하듯이 복제 배아도 체세포를 제공한 사람과 유전적으로 동일하다. 임신 초기 심장이 형성되고 있는 태아의 모습. - ... ...
항암 신약, 쉽고 빠르게 효과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1m) 크기의 오목한 그릇 형태로 만들고, 이 속에서 암세포를
배양
해 다세포구 형태로
배양
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렇게 만든 ‘3차원 하이드로젤 마이크로웰’을 사용해 다세포구를 만들자 암세포 고유의 특성이 유지되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했다. 이 교수는 “새로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 ...
항암제 내성 막는 ‘암 줄기세포’ 연구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것이다. 전상용 교수는 “생체 내 환경과 유사한 암 줄기세포를 고효율로 손쉽게 대량
배양
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며 “암 줄기세포 기초 연구 및 약물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암학회(AACR)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인 ‘암 ... ...
분자→세포→장기 순으로 연구… ‘상향식 생물학’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뇌가 공개되기도 했다. 앨리슨 무오트리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교수팀이 실험실에서
배양
시켜 만든 뇌 조직이다. 이 인공 미니 뇌의 뇌파는 인지 기능을 가진 생후 25∼39개월의 아기와 유사한 수준의 규칙적인 패턴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페트라 슈빌레 독일 막스플랑크생화학연구소 ... ...
억만장자 빌 게이츠와 리처드 브랜슨은 왜 인공고기 사업에 투자했나
과학동아
l
2018.11.24
조금 못 미치는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이르면 2021년, 늦어도 2025년에는 시중에서
배양
육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2018년 11월호,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 ...
암 발생 유전자, 알고 보니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사실상 암세포 유발인자로 알려졌던 유전자의 기능을 이용해 효과적인 신경줄기세포
배양
기술을 확보한다면 알츠하이머성 치매나 파킨슨 질환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 교수는 “암세포와 정상줄기세포는 많은 세포 신호전달체계를 ... ...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
과학동아
l
2018.11.20
모양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사진을 찍기가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팀은 세포
배양
시스템과 레이저가 내장된 새로운 현미경을 개발해 이를 해결했다. 켈러 교수는 “초박형 레이저 광선을 사용해 세포를 촬영하기 때문에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 ... ...
사람 腸 모사한 미니칩으로 장염 원인 밝혀내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위에는 장 상피세포가 자리하고 아래에는 혈액의 면역세포가 자리한다. 각각의 채널에
배양
액과 장염 유발 물질 DSS 를 통과시키며 실험을 한다. - 사진 제공 김현중 교수 이번 연구는 장기칩을 이용해 질병의 발병 원인과 과정을 밝힌 세계 첫 사례다. 신 연구원은 “앞으로 환자 개인의 세포와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