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위기도 거뜬"…'혁신기업 텃밭' 거듭나는 연구개발특구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연구개발(R&D) 특구 모델로 대학·연구기관 등 R&D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특정 분야의 고
밀도
집약공간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지난해 7월 강소특구에 지정된 서울 홍릉의 경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와 고려대·경희대를 중심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핵심기술 발굴에 집중하기로 했다. 임혜숙 ... ...
"나무만 많이 심는다고 기후위기 벗어날 수 없어"…과학적 근거로 숲 건강 관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5.28
예를 들어 기후변화로 대규모 산불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에는 적극적으로 산림
밀도
를 낮추기 위해 벌목을 장려하는 식이다. 기후변화로 식생이 바뀌어 최적 기후대에 있지 않은 나무가 있다면 새로운 종으로 선택적으로 대체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브레셔스 교수는 “나무를 심는 것만으로 ... ...
AI로 제작한 우리은하 주변 암흑물질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기술인 딥러닝을 적용해 우리은하로부터 1억 광년 내에 펼쳐져 있는 암흑물질의
밀도
분포를 예측했다. 이를 통해 300만 광년의 해상도를 지닌 우리은하 주변 ‘우주 거대 구조’의 상세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주 거대 구조란 우주에 분포하는 은하들이 이루는 거시적인 구조를 말한다. ... ...
인공지능이 우리은하 둘러싼 우주 속 암흑물질 지도 그렸다
연합뉴스
l
2021.05.27
공동 연구팀이 AI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우리은하로부터 1억 광년 내 펼쳐진 암흑물질의
밀도
분포를 예측해 냈다고 27일 밝혔다. 우주 속 암흑물질은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고 중력만으로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으로 설명되면서 우리 눈에 보이는 ... ...
국내 산림 벌목 논란...美 연구진 "기존 숲 건강 유지에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5.24
봤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로 대규모 산불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에는 적극적으로 산림
밀도
를 낮추기 위해 벌목을 장려하는 식이다. 기후변화로 식생이 바뀌어 최적 기후대에 있지 않은 나무가 있다면 새로운 종으로 선택적으로 대체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연구팀은 산림 관리를 통해 얻은 목재를 ... ...
"술 조금만 마셔도 뇌에 해롭다"
연합뉴스
l
2021.05.20
연구팀은 말했다. 매주 알코올의 평균 섭취량이 많을수록 뇌 회색질(gray matter)의
밀도
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전체적으로 알코올 섭취는 뇌 회색질의 용적 0.8%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개개인의 생물학적 특징과 행동 특성(biological and behavioral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수화물이 정말 비만의 주범일까
2021.05.18
에너지
밀도
를 한 요인으로 꼽았다. 채식인 고탄저지는 1g 당 1칼로리로 에너지
밀도
가 낮아 하루에 2㎏가 넘게 먹었지만, 육식 위주인 저탄고지는 1g 당 2칼로리로 하루 섭취량은 고탄저지의 3분의 2 수준이었다. 참가자들이 음식에 만족하고 마음껏 먹었음에도 고탄저지는 오히려 다이어트 효과를 ... ...
당국 "고위험군·고령층 1차접종 끝나는 7월 거리두기 개편안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거리두기 체계 중 1단계가 적용됐다. 해당 군은 모두 인구 수가 10만 명이 되지 않고 인구
밀도
가 낮아 코로나19 확산 위험이 낮다. 당국이 개편안 적용 시점을 7월로 잡은 것은 6월 말 코로나19 고위험군과 고령층에 대한 1차 접종이 이즈음 끝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75세의 경우 2차 접종까지 ... ...
[한 토막 과학상식] "이황화탄탈럼은 부도체" 40년 물리학계 논쟁 종결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제대로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황화탄탈럼은 저온에서 육각별 모형의 전하
밀도
파를 형성한다. 과거에는 이를 간과해 이황화탄탈럼이 저온에서 도체로 추정됐으나(b), 새로 분석한 결과 모트 부도체성(그림 c 내 화살표 자리 끊어진 부분)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UNIST 제공 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주 어딘가에 반물질로 이뤄진 반별이 있을까
2021.05.11
밀도
가 높은 우리은하 안에 있을 경우, 별 40만 개에 반별이 1개꼴로 존재한다. 만일 물질
밀도
가 낮은 우리은하 밖에 존재한다면 별 10개에 반별이 1개꼴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데이터로 반별의 존재를 확신하기는 이르다. 설사 AMS-02에서 반헬륨 검출이 이어져 존재가 확증되거나 물질로 된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