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무선"(으)로 총 1,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아이에게 맞는 코딩 장난감 찾아볼까?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수행하고, 여러 대의 대시앤닷을 이용해 축구 경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대시앤닷은 무선조종 로봇 역할도 합니다. 조이스틱 모드로 조종이 가능하죠. 또한 어린이용 스마트워치인 키즈폰 준3를 이용하면 모션 인식으로도 조종이 가능합니다. 대시앤닷 사용 연령은 5세 이상입니다 ... ...
- 7년 뒤 한국 바꿀 근미래 기술은 무엇?동아사이언스 l2017.12.19
- 바꿀 교통과 건설 분야의 신기술도 다수 선정됐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LS산전은 무선통신 기반의 자율주행 열차제어시스템을 선보여 주목 받았고, 고려대와 중앙대 등이 연구하는 자가치유콘크리트는 금이 간 부위를 스스로 메우는 새로운 콘크리트로 미래 도시를 편리하게 관리할 새로운 건설 ... ...
- [NASA화보] SpaceX의 우주화물선 드래곤, 3일간의 도킹일지 동아사이언스 l2017.12.18
- 끌어당겼다. 지상의 지휘관제 본부는 "드래곤이 ISS를 다시 찾은 위대한 날"이라고 무선을 날렸다. 이에 정거장 안의 조 에어커바 미국 비행사는 "아름다운 우주선을 보게 돼 기쁘고 거기서 물자들을 꺼내 정거장에서 과학 실험을 하는 것을 고대한다"고 답했다. (사진= NASA 제공) 무인 우주화물선 ... ...
- 공장 자동화 다음은? 선 없는 ‘스마트팩토리’ 올까 동아사이언스 l2017.12.07
- 조권도 ETRI 이동응용모뎀연구실장은 “공장의 생산관리 시스템과 센서, 협대역 IoT 무선통신 기기가 하나의 플랫폼으로 연결돼 성공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했다”며 “이 플랫폼이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5G에서도 성공적으로 작동하도록 개발해 진정한 ‘스마트팩토리’를 완성하는 게 최종 ... ...
- [사이언스 모션] 도심 속 지뢰 싱크홀, 한국은 IoT로 막는다2017.12.05
- 정보, 지하수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DB)를 더했습니다. 덕분에 센터에서는 복합센서와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해, 시스템이 설치된 각 지역의 지하공간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파손 위험이 높은 상하수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고, 지하수 양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 ...
- [싱크홀 전쟁] 도심 속 지뢰 싱크홀, 한국은 IoT로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11.30
-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단장은 “통신이 불가한 땅 속 정보를 지상으로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한 세계 최초 사례”라며 “맨홀 매립형이라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다”고 강조했다. ● 지하 매설물 복합적으로 관리하는 지하공간안전관리시스템 UGS융합연구단은 2015년부터 3년 ... ...
- 한국 신기술 수준은? 2017년 산업기술성과 14선 발표 동아사이언스 l2017.11.29
- 선정한 올해의 산업기술 중 하나인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미니트 _무인무선급속충전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올해 대한민국 산업을 이끈 신기술은 무엇일까. 공학계 석학 및 원로들은 인공신경망 기반의 기계 번역 기술(네이버 파파고)과 사진의 품질을 높이는 이미지센서(삼성전자), IoT 기반의 ... ...
- 종이로 만들고, 스마트 기기로 조종하는 RC코뿔소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11.24
- 이제 모터를 움직이게 해 주는 장치들을 연결할 차례예요. 스마트 기기와 모터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해 작동시키는 mco에 배터리와 스위치, 모터를 연결해요. 이어서 RC코뿔소 몸체 바닥의 큰 구멍에 모터캠이 들어가도록 놓고, 그 옆에 모터를 붙여요. 나머지 빈 공간에 배터리와 스위치를 붙이고, ... ...
- 당황하지 마세요, 위험에 빠진 고래를 도울 수 있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11.16
- 걸리거나 해변에 밀려와 구조가 필요한 고래를 발견했을 때 신고할 수 있는 유무선 직통 연락망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고래류 및 보호 대상 해양생물을 발견할 경우 직통 전화 (052-2700-911)와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고래연구센터’로 24시간 신고가 가능하다. 카카오톡으로 고래연구센터에 ... ...
- 전기화재 발화지점, 블록체인은 알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11.14
- 건물 각 층 분전반에 설치된 센서가 5분 간격으로 아크 발생 정보를 무선 전송한다. 이 정보는 한국전기안전공사, 소방방재청, 손해보험사 등이 함께 참여하는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블록체인은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데이터를 검증 및 보관하는 기술로, 데이터가 위조되지 않았음을 신뢰할 수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