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258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다누리 성공·허준이 필즈상' 과총 올해 10대 과학기술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에너지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해 자동차 주행
거리
확보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꿈의 배터리 기술'로 평가 받는다. 이 밖에 충전시간을 절반으로 낮춘 전기차 충전기술, 태양빛ㆍ전기로 미세플라스틱을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바꾸는 기술, 양자암호통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제공 중무장을 하고 동네 공원을 산책하다가 길에 뭔가를 뿌리는 사람이 눈에 들어왔다.
거리
가 가까워져 슬쩍 보니 하얗고 납작한 조각들로 아마도 염화칼슘이리라. 바닥 군데군데 깔린 얇은 얼음을 녹이려는 것 같다. 요사이 눈이 자주 와서 그런지 곳곳에서 잔 조각 상태로 바닥에 뿌려져 ... ...
지구촌 곳곳 북극발 강추위가 덮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5도까지 떨어지고 미네소타주, 아이오와주, 위스콘신주, 미시간주에서는 눈폭풍으로 가시
거리
가 0m인 '화이트아웃'이 현상이 벌어지는 등 미국 전역에 강추위가 몰아쳤다고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국립기상청(NWS)은 22일(현지시간) "30년 만에 가장 추운 겨울 날씨"라며 생명을 위협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휘발유와 경유 가격 역전의 진실
2022.12.21
할 수도 없었다. 한 푼이 아쉬운 달러를 투입해서 수입했던 기름은 서민과는
거리
가 먼 ‘고급 연료’였다. 더욱이 휘발유는 국가 경제에 부담을 주는 낭비적 사치품인 승용차에 사용하는 연료였다. 휘발유에는 사치품에 부과하는 ‘특별소비세’를 부과할 수도 있었다. 그렇다고 무작정 기름 ... ...
다누리 1차 임무궤도 진입성공...“진정한 달 궤도선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국내 첫 달 탐사선 KPLO.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의 첫 달 궤도선 '다누리(KPLO)'가 1차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다누리가 달의 중력에 안정적으로 ... 방식을 택하며 총 594만 km를 비행했다. 긴 비행 끝에 약 4개월 반 만인 17일 달에서 약 108km
거리
까지 근접한다. ... ...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40년간 고생물학 지평 넓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2.17
‘길이’를 알면, 발끝부터 골반까지의 높이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양쪽 발 사이의
거리
인 ‘보폭’을 알면 보행 속도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때 발자국의 길이를 이용해 골반의 높이를 구하는 알렉산더 공식과, 보폭과 골반 높이로 이동 속도를 구하는 툴번의 공식 등을 사용합니다. 초식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트레스는 '백신'...어려움 속 더 강해진다
2022.12.17
스트레스에 대비하게끔 도와주는 다양한 자원 또는 스킬이 부족한 경우 성장과는
거리
가 먼 경험을 할 수 있다. 탄력성을 마비시키는 사건의 발생 여부는 우리가 통제하기 어렵지만 다행히도 스트레스와 맞서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자원과 스킬은 습득이 가능하다.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온 결과 ... ...
코로나19 초과사망자 2년간 예상보다 3배 많은 1660만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2.16
감염병으로 인한 종합적인 영향이 모두 반영돼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와 각종 방역정책이 실시되고 사람들의 행동반경이 줄어들면서 인플루엔자 등 다른 전염성으로 인한 사망자가 줄어들었을 수 있다. 음셈부리 연구원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망률의 모든 ... ...
제임스웹, 지구 닮은 7개 행성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JWST는 올해 6월부터 이 행성들을 관측해 왔다. 이들은 태양과 수성의
거리
보다 더 가까운
거리
에서 항성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 물이 액체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평균 표면 온도를 가지는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HZ)에 존재했다. 아직 행성들의 대기 성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 ...
첫 달 궤도선 '다누리' 17일 달 중력에 포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탄도형 달 전이방식(BLT)’으로 달로 향했다. 총 594만km를 비행했고 17일 달에서 약 108km
거리
까지 근접한다. 17일부터 28일까지 총 5차례 임무궤도 진입기동을 실시한다. 특히 이번 1차 진입기동은 다누리가 달의 중력에 안정적으로 포획돼 달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기동이다. 13분간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