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싱글
하나
독신
개인
솔로
쏠로
d라이브러리
"
혼자
"(으)로 총 1,26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을 품은 떡잎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다 커서 광합성을 해 스스로 먹을 식량을 준비할 때까지는 내가 돌봐야 하지. 나
혼자
서 이 많은 동생들을 다 키운 셈이야. 어때, 나 조그맣긴 해도 참 대단하지? ㅎㅎQuiz 어떤 것이 ‘떡잎’일까요?떡잎과 본잎은 모양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떡잎은 잎 주위에 톱니모양이 없고 본잎보다 ... ...
성적도 오르는 즐거운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지식을 다른 사람과 나누기 위해 더욱 노력한다. 김승원 학생은 “동아리 활동은 나
혼자
잘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나를 조금 낮추고 다른 사람과 함께 협력해 일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최야곱 학생은 평소 관심 있었던 화학을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고 싶다는 ... ...
2014, 수능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작용한 바 있다. 가능한 선택 과목을 빨리 결정해 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다. 모든 단원을
혼자
힘으로 공부를 할 수 있는 과목, 전공학과와 관련 있는 과목, 자연계 논술이나 구술시험의 출제 범위에 속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구과학이나 물리처럼 선택하는 학생이 적은 과목이 ... ...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여긴?”그 곳은 교실이었다. 자습시간인지 다들 공부를 하고 있었고, 폴은 교실 뒤쪽에
혼자
앉아 있었다.“우앗! 우리 학교잖아? 다시 돌아온 건가?”흥분한 폴이 소리를 지르자 공부를 하던 학생들이 일제히 폴을 쳐다봤다. 그런데….“으악! 다 나잖아?”수십 명의 폴이 폴의 목소리에 반응하듯이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꾸준히 떨어져야 한다. 그러나 블랙홀 바로 옆이 아니면 아무리 블랙홀이라고 한들
혼자
만의 힘으로는 주변의 물질을 자기에게 끌어들일 수가 없다. 따라서 블랙홀 주변으로 물질이 몰릴 수 있게 하는 어떤 외부적인 원인이 있어야 하는데 유력한 것이 은하와 은하사이의 합병 현상이다. 은하와 ... ...
5화 속임수 천국 논리나라로!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길을 재촉하고 있었다.“여기 어디쯤 논리나라로 통하는 문이 있을 텐데….”폴리스는
혼자
낯선 곳에 있을 폴이 걱정이었다. 그래서인지 예전 같으면 금세 찾았을 문도 도통 보이질 않았다.“그래도 폴 녀석, 고집만 센 엉터리인 줄 알았더니…. 제법 잘 헤쳐나가고 있어.”폴리스는 처음 폴이 ... ...
작지만 값진 성공의 경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만든 촉매에서 원하던 성능을 얻었을 때의 느낌은 아직도 생생하게 남아 있다. 기뻐서
혼자
실험실에서 노래를 부르며 좋아하다가 아침 일찍 청소하시는 아주머니를 보고 어색해했다. 지금 생각하면 그리 대단한 결과는 아니었지만, 그때의 나에게는 무엇보다도 값진 성공의 경험이었다. ‘모든 ... ...
배려의 리더십으로 대학까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는 이야기치고 너무 겸손하다. 의례 하는 말이려니 하고 들어보니 아니다. 진심이다.
혼자
만 사는 인생이 아니다. 타인을 배려하는 리더십 학교장추천 전형은 학업역량 뿐만 아니라 품성과 지·덕·체를 고루 갖춘 전인적 인재로서 자연계 전공 관련 학문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공헌할 수 있는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동물인 것입니다. [새끼를 품에 안은 긴팔원숭이. 유인원은 새끼를 낳을 때 어미
혼자
서 새끼를 낳고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인간 여성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아이를 낳기 힘들다. 인류 역사상 출산을 도운 사람은 할머니 등 친숙한 여성이었다.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적인 동물이다.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대학은 교수가 없는 대학이 태반이었다. 김정흠 고려대 교수는 57년 유학을 떠나기 직전
혼자
서 서울에 있는 거의 모든 대학의 주요 과목을 가르쳐야 했다.유학을 떠난 교수들이 박사 과정을 마치고 대학으로 되돌아오면서 1960년 전후로 각 대학 물리학과 및 한국물리학계가 정상적인 궤도에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