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년"(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 성적의 ‘진짜’ 의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등급만으로 지원 가능성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실제로 경희대가 밝힌 2017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네오르네상스 전형) 합격자들의 교과 성적을 살펴보면, 합격자 평균은 2등급대이지만 등급 분포를 보면 4등급, 5등급 심지어 7등급까지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위 표).결국 지원 ...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좌표에 나타내 원하는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단원은 원래 고등학교 1학년 때 모두 배우던 내용인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경제수학의 ‘함수와 경제’ 영역에서 배우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수능 시험지에는 등장하지 않아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학이 많습니다. 시험을 잘 보는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소식을 들을 때마다 그 감동은 말로 다 할 수 없습니다. 지금 초등학교에 다니는 저학년 학생들은 제가 우주에 갈 때 태어나지도 않았는데, 저를 우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반겨주더라고요. 그런 학생들에게 저는 이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제가 우주인이 되는 데 29년이 걸렸습니다. 그 전까지는 ... ...
- [인터뷰] 정원영_광주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학교생활 최우선, 사교육 최소화”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설계하기 때문에 매번 달라질 수 있지만, 전년도와 유사하게 진행되는 편이다. 2018학년도의 경우에는 면접과 토론, 실험 설계, 수학적 사고력 평가를 진행했다. 면접의 경우 생활기록부와 자기개발계획서를 통해 중학교 생활에 대해 질문한다. 토론은 제시되는 글을 읽고 학생이 주제를 선정해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이번 개정안을 발표한 뒤에는 이공계에서 성명서를 내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이미 2017학년도 수능에서 기하와 벡터 과목의 일차변환과 행렬이 출제 범위에서 제외됐었는데, 2021 수능에서 기하 과목을 통째로 빼버렸기 때문입니다. 한 단원이 아니라 과목 전체를 뺐으니 이번 일은 어느 때보다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문화상품권 30만 원을 받았다. xlr8팀에서 수중로봇을 조종한 서주영 군(별무리학교 고등 2학년)은 “수중로봇 조종대회여서 단순하고 쉬울 줄 알았는데 원리를 이해하고 생각하면서 조종해야 하니 쉽지만은 않았다”면서 “전문가들이 해저 생태를 어떻게 탐사하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다”고 ... ...
- [인터뷰] GIST 대학장 고도경_ “서류전형 70% 반영, 고교 생활 성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선발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지만, 수시 일반전형 모집 인원이 2018학년도 125명에서 2019학년도에는 115명으로 10명이 줄어든다. 그 대신 학교장추천 전형이 30명에서 40명으로 늘었다. 선발 인원만 달라졌을 뿐 일반전형과 학교장추천전형, 고른기회전형의 전형 방법은 동일하다. 전형 방식도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중이다. 그간 기계공학전공 교과 과정이 1, 2학년 때는 이론 과목의 비중이 높고 3, 4학년 때는 실험을 많이하는 형태였는데, 이론을 배우면서 동시에 실습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의 비율을 조정하려고 한다. 박 교수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할 때 교육 ...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인간 성악가와 에버가 대결하는 줄거리다. 공연을 관람한 조화연 양(대구 경명여중 2학년)은 “로봇의 연기가 인간처럼 완벽하게 자연스럽지는 않았지만 초등학교 때 봤던 로봇에 비하면 훨씬 인간에 가까워졌다”며 “공연을 보기 전에 예상했던 로봇의 모습보다 훨씬 세련됐다”고 말했다 ...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고학년 초기 사춘기에 음란물은 아직 어색하다. 아하센터와 서울시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62.7%가 ‘19금’ 표현물을 관람한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대부분 직접 찾기 보다는 인터넷으로 우연히 봤고, 인터넷 창을 끄는 식으로 바로 없애버렸다. 보고 난 뒤의 감정은 꽤나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