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어쩌면 4D 뉴클레옴 분야의 최종 종착지는 다양한 과학 분야를 관통하는 교차점에 존재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박건희KAIST 생명과학과에서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재학 중이다. 현재 살아있는 세포에서 염색질의 운동과 유전자 발현 조절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toonivas@kaist.ac ... ...
- 한눈에 익히는 연립방정식과 기계학습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식으로 숫자를 같이 써서 나타내기도 합니다. 2. 방정식방정식이란 미지수가 1개 이상 존재하는 등식에서 값에 따라 등식이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식을 말합니다. 방정식은 그 종류에 따라서 다항방정식, 분수방정식, 무리방정식, 미분방정식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3. ...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디오판토스의 책 ‘산법’의 여백에 ‘n이 3 이상의 정수일 때, 을 만족하는 정수 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적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알려진 이 문제는 단순하게 생긴 모양 때문에 당시 많은 사람이 도전하곤 했다. 독일의 천재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나도 그런 난제 ...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눈으로 볼 수 있고 실체가 있는 직간접적인 경험과는 다르게,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가 영감을 줄 때도 있어요. 꿈이나 기억처럼 현실에 없는 것들이 바로 그런 거죠. 이렇게 보이지 않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는 눈에 보이는 이미지를 씌워서 제가 받은 영감을 표현하곤 합니다. 시인의 ...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뮤온 자기모멘트의 실험값과 이론값이 다른) 결과가 맞다면 표준모형 너머의 이론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며 “초대칭이론이나 암흑물질, 또는 새로운 입자가 이를 설명해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뮤온 자기모멘트 측정 실험은 총 5차까지 계획돼 있다. 이번 논문에는 전체 데이터의 6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한국 대표를 맡은 윤진희 인하대 물리학과 교수는 “수십 년 동안 이론상으로만 존재했던 힉스 입자를 발견해 비로소 표준모형을 완성한 공로가 크다”고 말했다.윤 교수는 LHC의 또 다른 큰 업적으로 지난해 12월 앨리스팀이 발표한 연구결과를 꼽았다. 윤 교수는 “1펨토미터(1000조분의 1미터)의 ...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모두 경사 하강법을 사용합니다. 여러 데이터는 알고리듬 내에서 여러 겹의 행렬층으로 존재하는데요. 미분으로 각 행렬층의 데이터에 대한 오차를 계산해 오차범위 밖의 값을 가지는 층의 데이터를 제외하거나 전체 데이터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식 등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위 그림은 미분을 ...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크거든요. 또 지구 대기의 방사성동위원소량에 영향을 주는 다른 가능성(태양 활동)이 존재하기 때문이에요. 이번 연구 결과를 가능성 정도로 의미를 두고, 앞으로 더 지켜본다면 더욱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용어정리* 방사성 물질: 불안정한 핵이 붕괴되면서 ... ...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연구팀은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나는 ‘지 프라임(Z prime)’이라는 새로운 입자의 존재 가능성이다. 지 프라임은 힘을 전달하는 운반체로 힘의 크기가 극도로 약해 지금까지 흔적이 보이지 않았지만, 전자와 뮤온에 다르게 상호작용하는 입자일 수 있다. 또 하나는 ‘렙토쿼크(leptoquark)’라는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현생인류 수준의 몸집과 900~1200cm³ 크기의 두뇌 용량을 가지고 있던 호모 에렉투스가 존재하던 시기다.호모 날레디의 가장 큰 의문은 이들이 발견된 흔적이 인위적인 매장의 흔적인가 하는 점이다. 이런 문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크기의 두뇌가 동반돼야 한다. 매장 행위는 오랫동안 호모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